
Sign up to save your podcasts
Or
이번시간에는 인유어 1세대 언어들, 즉 초기 그리스어, 초기 라틴어, 켈트어등이 갈라지게 되는 경로와 초기 Germanic 계열 언어들을 사용한 부족들의 형성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기원 수천년전 인유어 1세대 부족들은 그들의 주 무대였던 유라시아 대평원지역에서 벗어나 서쪽의 여러 지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기원전 3500년경에 인유어 사람들의 이동경로중 하나인 대평원지역과 발칸반도 사이의 지역에서 새로운 문화, usatovo culture 가 싹트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 usatovo culture 사람들도 서쪽으로 이동을 시작하는데요. 그런데 대평원 서쪽에는 Carpathian 산맥이 가로막고 있었으며 이 산맥은 오른쪽을 가르키는 화살표 모양으로 분포하였습니다. 따라서 더 서쪽으로 더 이동하려면 험난한 산맥을 넘어 가거나 아니면 산맥 북쪽 혹은 남쪽으로의 경로를 선택 해야했죠. 아마 당시에 산맥 자체를 넘어서 이동하는 일은 불가능 했을것이며 따라서 오른쪽 화살표 모양의 산맥을 끼고 남쪽 혹은 북쪽을 선택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들중 carpathian 산맥 북쪽으로 이동, 현대 북유럽지역에 정착한 사람들의 언어가 Germanic 계열 언어들의 시작이라고 많은 학자들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우사토보 컬쳐 사람들중 북쪽이 아니라 남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이 그릭, 라틴, 켈트어의 조상이 되는 것이죠.. 아마도 이러한 지리적인 고립으로 인해 같은 인유어에서 유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북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Germanic 계열 언어들과 남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그릭,라틴, 켈틱어에서 grimm’s law에서 살펴본 sound change를 비롯 여러 눈에 띄는 언어적 차이점이 생겨나지 않았을까 하고 학자들은 생각한답니다.
이번시간에는 인유어 1세대 언어들, 즉 초기 그리스어, 초기 라틴어, 켈트어등이 갈라지게 되는 경로와 초기 Germanic 계열 언어들을 사용한 부족들의 형성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기원 수천년전 인유어 1세대 부족들은 그들의 주 무대였던 유라시아 대평원지역에서 벗어나 서쪽의 여러 지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기원전 3500년경에 인유어 사람들의 이동경로중 하나인 대평원지역과 발칸반도 사이의 지역에서 새로운 문화, usatovo culture 가 싹트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 usatovo culture 사람들도 서쪽으로 이동을 시작하는데요. 그런데 대평원 서쪽에는 Carpathian 산맥이 가로막고 있었으며 이 산맥은 오른쪽을 가르키는 화살표 모양으로 분포하였습니다. 따라서 더 서쪽으로 더 이동하려면 험난한 산맥을 넘어 가거나 아니면 산맥 북쪽 혹은 남쪽으로의 경로를 선택 해야했죠. 아마 당시에 산맥 자체를 넘어서 이동하는 일은 불가능 했을것이며 따라서 오른쪽 화살표 모양의 산맥을 끼고 남쪽 혹은 북쪽을 선택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들중 carpathian 산맥 북쪽으로 이동, 현대 북유럽지역에 정착한 사람들의 언어가 Germanic 계열 언어들의 시작이라고 많은 학자들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우사토보 컬쳐 사람들중 북쪽이 아니라 남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이 그릭, 라틴, 켈트어의 조상이 되는 것이죠.. 아마도 이러한 지리적인 고립으로 인해 같은 인유어에서 유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북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Germanic 계열 언어들과 남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그릭,라틴, 켈틱어에서 grimm’s law에서 살펴본 sound change를 비롯 여러 눈에 띄는 언어적 차이점이 생겨나지 않았을까 하고 학자들은 생각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