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gn up to save your podcasts
Or
대만과 한국의 다양한 문화 이야기
요즘 사람을 채용중에 있는데, 쉽지 않다. 바로 춘절직전이기 때문. 춘절에 보통 대부분의 회사들이 보너스를 준다. 그것을 받고 이직하려는 사람들 떄문에 12월 1월은 이직을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춘절 직후가 사람을 뽑기는 가장 좋은 시기.
올해 춘절은 2월 10일인데, 2월 8일 목요일부터 2월 14일 수요일까지 연휴.
대만은 양력과 음력 신년 모두 보낸다. 우리나라의 경우 음양으로 구분하고 대만 역시 이를 음양으로 구분하지만 보통 양력을 '궈리'(國曆, 국력), 음력을 '눙리'(農曆, 농력)라고 표기한다. 궈리는 '시리'(西曆, 서력)라고도 표기되며 이는 한국에서 '서기'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서기는 서력 기원의 약자다. 음력설은 대만에서는 주로 農曆新年' 으로 표기
춘절하면 물론 춘절이지만, 춘절 전날이 중요하다.
대만에서 섣달그믐날을 '추시'(除夕)라고 한다. 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날인 섣달그믐날은
이날 금기사항도 있다. 시끄러운 소리를 내면 안된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물건을 옮기거나 만들면서 소리를 낸다거나, 큰 소리로 이야기를 한다거나, 말다툼을 하거나, 울면 안된다. 신년의 대길을 가로막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설날(정월초하루)
침대에 누워 있는 사람을 깨우려고 이름을 불러서는 안된다. 그럴 경우 상대방은 일년내내 일에 쫓기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며느리는 처가에 정월 초이튿날에 간다. 부모에게 드릴 홍빠오 금액은 짝수
춘절에 빠질 수 없는 것. 복권
가족단위로 구입. 꽈꽈러 긁는 복권
파인애플 모양 장식도 많이 볼 수 있는데, 민남어로 파인애플은 옹라이. 복이 온다라고 해석될 수 있어서 복을 가져오는 상징과 같다.
대만과 한국의 다양한 문화 이야기
요즘 사람을 채용중에 있는데, 쉽지 않다. 바로 춘절직전이기 때문. 춘절에 보통 대부분의 회사들이 보너스를 준다. 그것을 받고 이직하려는 사람들 떄문에 12월 1월은 이직을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춘절 직후가 사람을 뽑기는 가장 좋은 시기.
올해 춘절은 2월 10일인데, 2월 8일 목요일부터 2월 14일 수요일까지 연휴.
대만은 양력과 음력 신년 모두 보낸다. 우리나라의 경우 음양으로 구분하고 대만 역시 이를 음양으로 구분하지만 보통 양력을 '궈리'(國曆, 국력), 음력을 '눙리'(農曆, 농력)라고 표기한다. 궈리는 '시리'(西曆, 서력)라고도 표기되며 이는 한국에서 '서기'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서기는 서력 기원의 약자다. 음력설은 대만에서는 주로 農曆新年' 으로 표기
춘절하면 물론 춘절이지만, 춘절 전날이 중요하다.
대만에서 섣달그믐날을 '추시'(除夕)라고 한다. 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날인 섣달그믐날은
이날 금기사항도 있다. 시끄러운 소리를 내면 안된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물건을 옮기거나 만들면서 소리를 낸다거나, 큰 소리로 이야기를 한다거나, 말다툼을 하거나, 울면 안된다. 신년의 대길을 가로막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설날(정월초하루)
침대에 누워 있는 사람을 깨우려고 이름을 불러서는 안된다. 그럴 경우 상대방은 일년내내 일에 쫓기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며느리는 처가에 정월 초이튿날에 간다. 부모에게 드릴 홍빠오 금액은 짝수
춘절에 빠질 수 없는 것. 복권
가족단위로 구입. 꽈꽈러 긁는 복권
파인애플 모양 장식도 많이 볼 수 있는데, 민남어로 파인애플은 옹라이. 복이 온다라고 해석될 수 있어서 복을 가져오는 상징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