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정리본)
그것은 무슨 이유에서인가?
수보리여, 참으로 어떤 자가 이와 같이 말하기를 아트마-견해가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다, 중생-견해, 지와(jiva)-견해, 뿌뜨깔라-견해가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다(라고 한다면) 참으로 그는 바르게 말한 것인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렇지 않습니다 선서시여, 바르게 말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무슨 이유에서인가 하면, 세존이시여, 여래에 의해서 설해진 것, 그 아트마-견해는 비(非)-견해다(라고) 그것은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습니다, 그래서 말해지기를 아트마-견해라고 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다 수보리여, 보살승에 굳게 나아가는 자에 의해서 일체 법들은 지혜로 알아져야 하고 보여져야 하고 확신이 가져져야 한다.
그리고 그러하게 지혜로 알아져야 하고 보여져야 하고 확신이 가져져야 하나니 즉 법-상(相)이 생겨남이 없이.
그것은 무슨 이유에서인가?
수보리여 법-상, 법-상(相)이라는 것은 비(非)-상(相)이다(라고) 이것은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나니, 그래서 말해지기를 법-상(相)이라 하기 때문이다.
*아트마-견해
① 아트마가 맞다
② an아트마(무아)가 맞다
③ 아트마와 an아트마 둘다 맞다
④ 아트마와 an아트마 둘다 아닌 것이 맞다
*그 아트마-견해는 비(非)-견해다(라고) 그것은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습니다, 그래서 말해지기를 아트마-견해라고 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 (atma-견해 = anatma(무아)-견해)
atma-견해는 anatma-견해, 그래서 atma-견해
*그러하게 지혜로 알아져야 하고 보여져야 하고 확신이 가져져야 하나니 즉 법-상(相)이 생겨남이 없이.
법-상(相)이 생겨남이 없이- no 법-상
no 법상 = no 법상, no 비법상(非法相)
*법-상(相)이라는 것은 비(非)-상(相)이다(라고) 이것은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나니, 그래서 말해지기를 법-상(相)이라 하기 때문이다.
법상은 비상(비법상)이다, 그래서 법상이다.
A는 anA이다, 그래서 A이다.
도덕경 1장
도가도 비상도 道可道 非常道
명가명 비상명 名可名 非常名
무명 천지지시 無名 天地之始
유명 만물지모 有名 萬物之母
고상무욕이관기묘 故常無慾以觀其妙
상유욕이관기요 常有慾以觀其요
차양자동 此兩者同
출이이명 出而異名
동위지현 同謂之玄
현지우현 玄之又玄
중묘지문 衆妙之門
도가 도로 옳으려면 비 항상-도여야 한다.(도가 도로 있으려면 항상 비도가 있어야 한다.)
명이 명으로 옳으려면 항상 비명(非名)이어야 한다.
무명은 천지의 시작이다.
유명은 만물의 어머니다.
본래 항상 무욕으로써 그 묘함을 본다.
항상 유욕으로써 그 겉모습을 본다.
이 둘은 같다.
나타나면 다른 이름이다.
같은 것을 일컬어서 현(玄)이라 한다.
같고 또 같다.
무리(중생)들의 묘한 문이다.
* 道可道 非常道 도가 도이려면 비-항상-도
A가 A이려면 an(항상)A
A는 anA, 그래서 A --금강경
즉
도덕경 = A, A, anA
금강경 = A, anA, A (산스크리트는 도치 되어있다, 도치법)
*名可名 非常名 (名=명칭, 외형, 모습, 12연기의 4번째)
도가도비상도 다음 문장으로 명가명비상명이 바로 나온다.
그러므로 비상도(非常道)는 바로 ‘名’을 가르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상명(非常名)은 도(道)를 가르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도가 도로 있으려면 항상 명(名)이 있어야 한다.
명이 명으로 있으려면 항상 도(道)가 있어야 한다.
부처님 연기법:
이것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저것이 있다
이것이 생겨나면 (반드시) 저것도 생겨난다.
이것이 없을 때에는 (반드시) 저것도 없다.
이것이 소멸하면 (반드시) 저것도 소멸한다.
*無名 天地之始
有名 萬物之母
①無名은 도(道)
②有名은 명(名)
*故常無慾以觀其妙, 常有慾以觀其요
항상 무욕 = 무명(無名) = 도(道) ===> 그 묘함을 본다.
항상 유욕 = 유명(有名) = 명(名) ===> 겉모습
부처님 법: 탐진치의 소멸이 해탈이다.
*이 둘은 같다(此兩者同)
도(무명, 무욕) = 명(유명, 유욕)
①도(A)
②명(anA, 非常道)
즉 도 = 명(非常道)
A = anA
*나타나면 다른 이름이다(出而異名)
*같은 것을 일컬어서 현(玄, 검다, 하늘, 그윽하다)이라 한다.
현(玄) = (도 = 명)
*같고 또 같다(玄之又玄)
명즉시도 도즉시명(名卽是道 道卽是名)
색즉시공 공즉시색(반야심경)
A = anA, anA = A
*중생(무리)들의 묘한 문(門)이다.
*금강경과 도덕경의 공통점:
①A가 있으려면 anA가 있어야 비로서 A가 있을 수 있다.
②A와 anA는 같다.
*금강경과 도덕경의 차이점:
도덕경: A = anA가 중묘지문이다.
금강경: no A, no anA (A도 버리고 anA도 버려라)
도덕경 4장
도!
텅 비어서, 쓰되 채우지 못한다.
그 깊음이여! 만물의 근원인 양!
날카로움을 무디게 하고
얽힘을 풀고
빛남을 부드럽게 하고
티끌과 같이 한다.
그 맑고 깊음이여! 마치 존재하는 듯!
(4장의 여기까지는 다른 사람이 해석한 것임.)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吾不知誰之子: 나는 (道가) 누구의 자식인지 알지 못한다.
象帝之先: 상제의 앞(먼저)이다.
상(象, 코끼리, 상아, 모양, 그림)
① 도(道)는 무명(無名)
② 象帝는 유명(有名)
본래 상제라는 한자는 ‘上帝’이다.
*吾不知誰之子: 나는 (道가) 누구의 자식인지 알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