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가 아닌 압력 수단으로는 북핵 문제는 풀리지 않을 것입니다. 북한은 북한체제가 위협을 느꼈을 때 핵을 손에 잡았습니다. 안전보장과 관계 정상화를 약속받았을 때 핵 포기를 약속했습니다. 약속의 이행에 대한 불안이 생겼을 때 다시 핵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했습니다. 그리고 압력이 가중되었을 때 마침내 핵실험을 강행했습니다. 체제가 불안하거나 압력이 높을수록 사태는 더욱더 악화되어온 것이 과거의 경험입니다. 결국 대화밖에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조금만 깊이 생각하면 누구라도 쉽게 알 수 있는 일입니다.”
참여정부는 북핵 위기라는 난제를 안고 출범했습니다. 안팎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북핵 불용’, ‘평화적 해결’이라는 원칙으로 일관했습니다. 그 같은 원칙과 남북관계 당사국으로서 주도적인 노력을 통해 북핵 문제를 대화의 장으로 끌어냈습니다. 퇴임을 3개월여 앞둔 2007년 11월 13일, 한겨레통일재단과 부산시가 공동개최한 심포지엄에 참석한 노 대통령의 기조연설을 통해 참여정부의 ‘북핵 문제 해법’을 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