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gn up to save your podcasts
Or
대만과 한국의 다양한 문화 이야기
이번에 한국에 갔을 때 가장 놀란 것은 마트에서 파는 위스키의 가격이었다. 대만에서 보던 가격의 딱 두 배 가격. 한국 면세점도 대만 마트보다 비싼 느낌.
음주율의 통계를 어디서 봤는데, 대만의 음주율은 11%로 세계 평균 음주율인 43% 보다 훨씬 낮다. 한국은 51%로 세계평균보다 높고. 대만에 술이 싼 것은 마시는 사람, 즉 수요가 없으니 공급은 그만큼 가격 경쟁이라도 해야하는 것인가. (흐믓)
어제 시장 한켠에서 맛점으로 요위껑魷魚焿을 하나 먹고 돌아오는 길, 대로변에 술가게가 있었다. 마침 한국에서 비싼 가격에 놀란터라 구경에 들어갔다.
대만환율은 40을 곱하고, 요즘 한화가치가 떨어져서 거기에 10%를 붙이면 되는데, 1000NTD면 4만4천원인 식이다. 이번에 한국에 갈 때 대만 면세점에서 사갔던 야마자키가 면세점과 가격이 똑같다니. 히비키도 15만원이라니. 원래 술은 레이블 예쁜 것을 보고 사는지라, 고민 끝에 처음 보는 장미 그려진 술을 하나 사들고 발걸음이 아주 사뿐 사뿐했다.
대만은 왜 술이 쌀까?
반대로 한국은 왜 술이 비쌀까?
주세때문.
와인은 1리터당 1도에 7원인데, 750ml한병이면 1리터가 조금 안되고, 12%이면 대략 7위안 * 0.75L * 12 = 63원이 되는데, 한국은 술의 값에 따라 매겨진다. 한병에 1만원짜리 포도주는 30%가 붙는 것. 그래서 비싸다. 예를 들어 300달러 포도주는 한국에서 세금을 내면 390달러에 사야하지만, 대만에서는 2달러에 불과한 세금을 내면 된다. 대만 국내 생산 위스키도 20도 이상이면 리터당 185원으로 정해져있다.
대만에 오시면 면세점보다 시중 마트에서 위스키나 포도주가 가장 싸다. 한국의 50% 할인이 연중내내 계속된다고 보시면 된다.
대만과 한국의 다양한 문화 이야기
이번에 한국에 갔을 때 가장 놀란 것은 마트에서 파는 위스키의 가격이었다. 대만에서 보던 가격의 딱 두 배 가격. 한국 면세점도 대만 마트보다 비싼 느낌.
음주율의 통계를 어디서 봤는데, 대만의 음주율은 11%로 세계 평균 음주율인 43% 보다 훨씬 낮다. 한국은 51%로 세계평균보다 높고. 대만에 술이 싼 것은 마시는 사람, 즉 수요가 없으니 공급은 그만큼 가격 경쟁이라도 해야하는 것인가. (흐믓)
어제 시장 한켠에서 맛점으로 요위껑魷魚焿을 하나 먹고 돌아오는 길, 대로변에 술가게가 있었다. 마침 한국에서 비싼 가격에 놀란터라 구경에 들어갔다.
대만환율은 40을 곱하고, 요즘 한화가치가 떨어져서 거기에 10%를 붙이면 되는데, 1000NTD면 4만4천원인 식이다. 이번에 한국에 갈 때 대만 면세점에서 사갔던 야마자키가 면세점과 가격이 똑같다니. 히비키도 15만원이라니. 원래 술은 레이블 예쁜 것을 보고 사는지라, 고민 끝에 처음 보는 장미 그려진 술을 하나 사들고 발걸음이 아주 사뿐 사뿐했다.
대만은 왜 술이 쌀까?
반대로 한국은 왜 술이 비쌀까?
주세때문.
와인은 1리터당 1도에 7원인데, 750ml한병이면 1리터가 조금 안되고, 12%이면 대략 7위안 * 0.75L * 12 = 63원이 되는데, 한국은 술의 값에 따라 매겨진다. 한병에 1만원짜리 포도주는 30%가 붙는 것. 그래서 비싸다. 예를 들어 300달러 포도주는 한국에서 세금을 내면 390달러에 사야하지만, 대만에서는 2달러에 불과한 세금을 내면 된다. 대만 국내 생산 위스키도 20도 이상이면 리터당 185원으로 정해져있다.
대만에 오시면 면세점보다 시중 마트에서 위스키나 포도주가 가장 싸다. 한국의 50% 할인이 연중내내 계속된다고 보시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