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문화유산계를 뜨겁게 달구는 이슈가 있습니다. 바로 서산 부석사의 ‘금동관음보살좌상’입니다. 1330년 시주자 32명이 불심을 모아 제작한 불상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불상은 700년 가까이 부석사에 없었습니다. 무슨 영문인지 일본 대마도(쓰시마) 관음사(간논지)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불상이 한·일간 민감한 난제로 떠올랐습니다. 2012년 “일본에 있는 우리 문화재가 많으니 훔쳐와 팔면 큰 이득이 있을 것”이라고 범행을 모의한 한국 절도범 일당이 감쪽같이 훔쳐서 국내로 반입한 것입니다.
그 때 훔쳐온 것이 관음사의 금동관음보살좌상(일본 지방 유형문화재)과 해신신사(가이진 진사)의 금동여래입상(일본 국가지정중요문화재)이었습니다. 이 중 통일신라시기의 걸작인 금동여래입상은 일본의 주인에게 돌려주었습니다. 그러나 금동관음보살좌상은 논란의 소용돌이에 빠졌습니다. 서산 부석사측이 ‘1330년 고려국 서산 부석사에서 제작했다’는 불상 조성문이 존재하고, 왜구들이 불법반출한 것이 틀림없기 때문에 ‘부석사 것’이라고 주장한겁니다.
이 문제는 법정소송에 휘말렸고, 법원은 일단 부석사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그러나 일본측은 “절도범이 훔쳐간 것이 명백한 유물을 빼앗는 행위”라고 비난하고 있습니다. 따지고보면 사실 ‘왜구가 약탈해갔다’는 확증은 없습니다. 그러나 그럴 정황의 예는 차고 넘칩니다. 그렇다면 어찌해야 할까요. 부석사 불상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그리고 솔로몬의 지혜는 없는지 알아보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