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최고의 브로맨스가 있다. 바로 겸재 정선(1676~1751)과 사천 이병연(1671~1751)이다. 유명한 일화가 있다.
1740년 당시 만 69살이던 사천이 양천현감을 제수받아 떠나는 절친 정선에게 다음과 같은 이별시를 남겼다. “자네와 나는 합쳐야…되는데 그림 날고 시 떨어지니 둘다 허둥대네.…강서에 지는 저 노을 원망스럽네.” 얼마나 멀리 떨어지기에 이렇게 구구절절 이별의 슬픔을 토로하는가.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 아니었다.
지금으로 치면 서울 양천구청장으로 발령받은 것이다. 그런 친구에게 ‘이별이 원망스럽네. 어쩌네’ 하는 것이 좀 ‘오버’아닐까. 그러나 평생지기 ‘베프’였던 천재시인과 화가의 브로맨스를 안다면 좀 과장된 호들갑 쯤은 이해할 수도 있겠다.
그렇다. 5살 터울인 두사람은 지금의 서촌(서울 청운동 옥인동 일대)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사천 이병연은 겸재 정선보다 덜 알려졌다.
그러나 당대의 평가로는 ‘그림은 정겸재, 시는 이사천’이나 ‘좌사천, 우겸재’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시와 그림 분야의 쌍두마차였다. 사천은 평생 1만3000~3만수의 시를 지은 다작시인이었다. 시를 지을 때마다 수염을 쥐어뜯는 독특한 버릇이 있었다. 시를 짓느라 수십일동안 문을 닫고 끙끙 거리던 사천의 얼굴엔 수염이 남아나지 않았다.
‘이기환 기자의 흔적의 역사’ 블로그 http://leekihwan.khan.kr/
기사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1171150001&code=96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