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것 없을 겁니다. 여태껏 여러 대학과 여러 학자들이 조사했지만 허탕만 쳤습니다.”
1978년 1월6일. 정영호 교수가 이끄는 단국대 조사단이 충북 단양을 찾았다.
온달의 유적을 찾고, 죽령을 중심으로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를 밝히는 학술조사를 벌이기 위함이었다.
맨먼저 단양군청을 찾았는데 시큰둥한 반응만 얻었다. 지금까지 많은 조사단이 오갔지만 별 성과를 얻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새해벽두부터 뭐 그렇게 헛걸음 했느냐는 식이었다. 그러나 조사단은 아랑곳 하지 않았다. 단양 읍내 뒷산인 성재산(해발 323m·적성산성)을 찾았다.
오후 2시. 조사단은 간밤에 내린 눈이 하얗게 뒤덮은 산에 올랐다. 정영호 교수는 학생들에게 한가지 약속을 했다.
“성 안에는 옛날 식의 기와편과 토기편이 흩어져 있었지. 대부분이 신라토기였고. 학생들에게 ‘글자가 있는 기왓장을 수습하면 맥주 한 병씩 준다.“
그러나 별 수확이 없는 듯 했다.
간밤에 내린 눈에 녹아 진탕이 되었고, 조사단 학생이 신발에 묻은 흙을 털려고 두리번거렸다.
마침 직경 한 뼘쯤 되는, 흙 묻은 돌부리가 지표면을 뚫고 노출돼 있었다. 안성맞춤이었다. 학생이 신발 흙을 털려고 고개를 숙이는 순간, 이상한 기분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