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gn up to save your podcasts
Or
출연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
소개곡
1. Humoresque No.7 in G flat Major, OP.101
2. Ziemlich - Lebhaft
3. Allegro ma non troppo
4. Romance for Vilon and Orchestra in f minor, Op.11
“세계가 그 실력 알아봤다.”- 2012년 중앙일보
2015년 루체른 페스티벌 리사이틀을 전석매진 시키며 성공적인 데뷔를 한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는 2012년 독일 하노버 요아힘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우승을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 1위 없는 2위 및 최고의 파가니니 카프리스 특별상을, 일본 나고야 무네츠구 국제 콩쿠르 우승 및 오케스트라 단원 선정 특별상ㆍ무네츠구 선정 특별상,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입상했으며 하노버 국제 콩쿠르 우승으로 낙소스 레코드사와의 음반계약과 명기 과다니니를 대여 받았다. 또한 인디애나폴리스 콩쿠르 입상 및 베토벤 소나타상, 최고 모차르트 협주곡상을 수상했고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콩쿠르 우승, 미국 요한슨 국제 콩쿠르 2위, 센다이 국제 콩쿠르와 마이클 힐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는 등 출전한 모든 콩쿠르에서 모두 파이널 진출 및 입상한 놀라운 실력파 아티스트이다.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는 금호영재ㆍ영아티스트ㆍ라이징스타 출신으로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 후 서울시립교향악단, KBS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 벨기에 국립오케스트라, 북독일방송교향악단, 뮌헨 체임버 오케스트라, 미국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일본 추부 오케스트라, 센다이 오케스트라, 벨기에 왈론 로얄 체임버 오케스트라 등 국내외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했다. 또한 미국 라비니아 페스티벌과 옐로우반 페스티벌, 크론베르크 실내악 축제,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세종실내악축제 등에 초청받아 참여하고 있으며 기돈 크레머, 스티븐 이설리스, 크리스티안 테츨라프, 프란스 헬머슨, 슐로모 민츠, 도날드 와일러스타인, 이타마르 골란 등의 저명 연주자들과 함께 무대에 오르고 있다. 2018년, 슬로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드보르작 바이올린 협주곡 협연 음반 발매 하고, 내한투어를 앞두고 있다.
김다미는 양해엽 사사로 예원학교에 입학했으며 백주영 사사 중 도미하여 커티스 음악원 아론 로잔드 사사로 디플로마 수료, 보스톤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를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해 미리암 프리드 사사로 학사, 석사, 연주자과정(Graduate Diploma)을 졸업했다. 독일 크론베르크 아카데미에서 미하일라 마틴을 사사하고 현재 뉴욕주립대에서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일본 옐로우 엔젤 재단에서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대여받았으며 현재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으로부터 1740년 제작된 도미니쿠스 몬타냐나를 지원받아 사용하고 있다.
Conductor Damian Iorio 지휘 다미안 이오리오
런던에서 이탈리아와 영국의 유명한 음악가 가족 사이에 태어난 다미안 이오리오는 역동적이고 수준높은 지휘자로 국제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로 시작한 그는 로열 노던 음악대학과 인디애나 대학에서 공부한 후, 덴마크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멤버로 활동하면서 미국 세인트 피터즈버그에서 지휘자로 수학하였다.
런던필하모닉, 디트로이트 심포니,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네덜란드 라디오 필하모닉,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BBC 심포니, 벨기에 국립오케스트라, 본 오페라, 파리 국립오페라, 글라인드본 오페라 페스티벌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들과 함께 연주하고 있다. 특히 파리 국립오페라에서 “바티나신부”, 글라인드본 오페라 페스티벌의 베르디 “멕베스”공연을 지휘하였고 최근 모스크바 헬리콘 오페라에서 펼쳐진 “카르멘”과 스웨덴 노를란드 오페라 극장에서 공연된 오페라“예브게니 오네긴”의 성공적인 데뷔는 세계적인 연주단체들과 많은 협연의 기회를 갖게 하였다.
2014년부터 영국 밀턴 케인스 시립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맡아 왔으며 세계적인 솔리스트들과 함께 수준 높은 공연을 선사함으로서 오케스트라의 위상을 더욱 높게 만들었으며 러시아 무르칸스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 및 수석지휘자로 활동하며 오케스트라 및 오페라 공연 모두 성공적인 활동을 거두었다.
다미안 이오리오는 음악교육에도 큰 열의를 보이며 밀턴 케인스 시립 오케스트라와 BBC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많은 오케스트라들과 함께 여러 교육 프로젝트에도 참가하였고 영아티스트들과 함께 작업하는 열정으로 현재 영국 국립 청소년오케스트라단 음악감독을 역임하고 있다. 다미안 이오리오는 2006년 음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마리노 공화국으로부터 산트 아가타의 작위를 수여 받기도 하였다.
Slovak Philharmonic Orchestra 슬로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오늘날 세계 많은 오케스트라들이 그들 자신만의 사운드가 아닌 범 세계적인 사운드를 지향하고 있는데 반해 , 국립 슬로박 필하모닉은 여전히 그들만의 독특한 사운드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긍지로 여기고 있는 오케스트라이다. 슬로박 필하모닉은 1949년 브라티슬라바의 첫 국립 오케스트라로서 설립되 었다. 첫 상임지휘자는 ‘체코 지휘계의 아버지’라 불리는 ‘바츨라프 탈리헤이’였다 . 탈리헤이 의해 육성된 오케스트라는 슬라브적인 사운드를 만들어 갔고, 여기에 라디슬라프 슬로박, 리보르 페섹, 블라디미르 발렉 등 체코 출신의 거장들이 음악감독을 역임 했고, 더욱이 클라우디오 아바도, 첼리비다케 리비다케 리비다케, 제임스 콘론, 오트마르 오트마르 주이트 너, 쿠르트 잔데를링크, 바츨라프 노이만, 레너드 슬래트킨, 마리스 얀손스, 리카르도 무티, 발레리 게르기예프 등과 같은 거장 지휘자들이 함께 하여 오케스트라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였다. 또한 알프레드 브렌델, 마우리치오 폴리니, 미하일 플레트네프, 기 돈 크레머 등 당대 최고의 솔리스트들과도 협연하였다.
이에 힘입어 프라하 봄 국제 페스티벌, 빈 페스티벌, 베를린 음악 페스티벌, 피렌체 마지오 무지칼레 페스티벌 등 다양한 국제 음악제에도 게스트로 초청 받아서 국제적 명성을 떨쳤다. 슬로박 필의 음반들 중에서도 리보르 페섹이 지휘한 드보르작 교향곡 전집, 스메타나, 야나체크의 관현악곡은 세계적인 명반으로 평가 받고 있다.
4.5
22 ratings
출연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
소개곡
1. Humoresque No.7 in G flat Major, OP.101
2. Ziemlich - Lebhaft
3. Allegro ma non troppo
4. Romance for Vilon and Orchestra in f minor, Op.11
“세계가 그 실력 알아봤다.”- 2012년 중앙일보
2015년 루체른 페스티벌 리사이틀을 전석매진 시키며 성공적인 데뷔를 한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는 2012년 독일 하노버 요아힘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우승을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 1위 없는 2위 및 최고의 파가니니 카프리스 특별상을, 일본 나고야 무네츠구 국제 콩쿠르 우승 및 오케스트라 단원 선정 특별상ㆍ무네츠구 선정 특별상,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입상했으며 하노버 국제 콩쿠르 우승으로 낙소스 레코드사와의 음반계약과 명기 과다니니를 대여 받았다. 또한 인디애나폴리스 콩쿠르 입상 및 베토벤 소나타상, 최고 모차르트 협주곡상을 수상했고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콩쿠르 우승, 미국 요한슨 국제 콩쿠르 2위, 센다이 국제 콩쿠르와 마이클 힐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는 등 출전한 모든 콩쿠르에서 모두 파이널 진출 및 입상한 놀라운 실력파 아티스트이다.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는 금호영재ㆍ영아티스트ㆍ라이징스타 출신으로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 후 서울시립교향악단, KBS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 벨기에 국립오케스트라, 북독일방송교향악단, 뮌헨 체임버 오케스트라, 미국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일본 추부 오케스트라, 센다이 오케스트라, 벨기에 왈론 로얄 체임버 오케스트라 등 국내외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했다. 또한 미국 라비니아 페스티벌과 옐로우반 페스티벌, 크론베르크 실내악 축제,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세종실내악축제 등에 초청받아 참여하고 있으며 기돈 크레머, 스티븐 이설리스, 크리스티안 테츨라프, 프란스 헬머슨, 슐로모 민츠, 도날드 와일러스타인, 이타마르 골란 등의 저명 연주자들과 함께 무대에 오르고 있다. 2018년, 슬로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드보르작 바이올린 협주곡 협연 음반 발매 하고, 내한투어를 앞두고 있다.
김다미는 양해엽 사사로 예원학교에 입학했으며 백주영 사사 중 도미하여 커티스 음악원 아론 로잔드 사사로 디플로마 수료, 보스톤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를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해 미리암 프리드 사사로 학사, 석사, 연주자과정(Graduate Diploma)을 졸업했다. 독일 크론베르크 아카데미에서 미하일라 마틴을 사사하고 현재 뉴욕주립대에서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일본 옐로우 엔젤 재단에서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대여받았으며 현재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으로부터 1740년 제작된 도미니쿠스 몬타냐나를 지원받아 사용하고 있다.
Conductor Damian Iorio 지휘 다미안 이오리오
런던에서 이탈리아와 영국의 유명한 음악가 가족 사이에 태어난 다미안 이오리오는 역동적이고 수준높은 지휘자로 국제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로 시작한 그는 로열 노던 음악대학과 인디애나 대학에서 공부한 후, 덴마크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멤버로 활동하면서 미국 세인트 피터즈버그에서 지휘자로 수학하였다.
런던필하모닉, 디트로이트 심포니,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네덜란드 라디오 필하모닉,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BBC 심포니, 벨기에 국립오케스트라, 본 오페라, 파리 국립오페라, 글라인드본 오페라 페스티벌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들과 함께 연주하고 있다. 특히 파리 국립오페라에서 “바티나신부”, 글라인드본 오페라 페스티벌의 베르디 “멕베스”공연을 지휘하였고 최근 모스크바 헬리콘 오페라에서 펼쳐진 “카르멘”과 스웨덴 노를란드 오페라 극장에서 공연된 오페라“예브게니 오네긴”의 성공적인 데뷔는 세계적인 연주단체들과 많은 협연의 기회를 갖게 하였다.
2014년부터 영국 밀턴 케인스 시립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맡아 왔으며 세계적인 솔리스트들과 함께 수준 높은 공연을 선사함으로서 오케스트라의 위상을 더욱 높게 만들었으며 러시아 무르칸스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 및 수석지휘자로 활동하며 오케스트라 및 오페라 공연 모두 성공적인 활동을 거두었다.
다미안 이오리오는 음악교육에도 큰 열의를 보이며 밀턴 케인스 시립 오케스트라와 BBC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많은 오케스트라들과 함께 여러 교육 프로젝트에도 참가하였고 영아티스트들과 함께 작업하는 열정으로 현재 영국 국립 청소년오케스트라단 음악감독을 역임하고 있다. 다미안 이오리오는 2006년 음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마리노 공화국으로부터 산트 아가타의 작위를 수여 받기도 하였다.
Slovak Philharmonic Orchestra 슬로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오늘날 세계 많은 오케스트라들이 그들 자신만의 사운드가 아닌 범 세계적인 사운드를 지향하고 있는데 반해 , 국립 슬로박 필하모닉은 여전히 그들만의 독특한 사운드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긍지로 여기고 있는 오케스트라이다. 슬로박 필하모닉은 1949년 브라티슬라바의 첫 국립 오케스트라로서 설립되 었다. 첫 상임지휘자는 ‘체코 지휘계의 아버지’라 불리는 ‘바츨라프 탈리헤이’였다 . 탈리헤이 의해 육성된 오케스트라는 슬라브적인 사운드를 만들어 갔고, 여기에 라디슬라프 슬로박, 리보르 페섹, 블라디미르 발렉 등 체코 출신의 거장들이 음악감독을 역임 했고, 더욱이 클라우디오 아바도, 첼리비다케 리비다케 리비다케, 제임스 콘론, 오트마르 오트마르 주이트 너, 쿠르트 잔데를링크, 바츨라프 노이만, 레너드 슬래트킨, 마리스 얀손스, 리카르도 무티, 발레리 게르기예프 등과 같은 거장 지휘자들이 함께 하여 오케스트라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였다. 또한 알프레드 브렌델, 마우리치오 폴리니, 미하일 플레트네프, 기 돈 크레머 등 당대 최고의 솔리스트들과도 협연하였다.
이에 힘입어 프라하 봄 국제 페스티벌, 빈 페스티벌, 베를린 음악 페스티벌, 피렌체 마지오 무지칼레 페스티벌 등 다양한 국제 음악제에도 게스트로 초청 받아서 국제적 명성을 떨쳤다. 슬로박 필의 음반들 중에서도 리보르 페섹이 지휘한 드보르작 교향곡 전집, 스메타나, 야나체크의 관현악곡은 세계적인 명반으로 평가 받고 있다.
24 Listeners
460 Listeners
59 Listeners
1,269 Listeners
15 Listeners
12 Listeners
2 Liste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