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19회 최치원이 발해를 향해 쌍욕을 퍼부은 까닭


Listen Later

팟캐스트 19회는 ‘최치원이 발해를 향해 쌍욕을 퍼부은 까닭’입니다.
9세기 말 만고의 명문장가라는 최치원이 막말을 퍼붓습니다.
발해를 겨냥해서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자갈과 모래같은 무식한 놈들’, ‘추한 오랑캐’, ‘떼강도’, ‘군더더기 같은 부락민’…. 그뿐 아니라 멸망한 고구려를 두고도 ‘고구려의 미친바람’이라고 합니다.
최치원은 과연 왜 발해를 향해 쌍욕을 해댔을까요.
새삼 북한이 남측 정부와 인사, 미국정부와 인사들에게 퍼붓는 막말이 떠오릅니다.
이명박 전대통령이 회고록을 내자 ‘정치 무능아’, ‘못난이 하는 짓마다 사달’, ‘돌부처도 낯을 붉힐 노릇’, ‘역사의 시궁창에 처박힌 산송장’이라 표현했지요. 박근혜 대통령에게는 ‘시집못간 노처녀의 술주정’ ‘유신군사깡패의 더러운 핏줄’, ‘살인마 악녀’, ‘방구석 아낙네의 근성’, ‘못돼먹은 철부지 계집’ 등의 막말을 해댔구요.
그뿐인가요.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는 “아프리카 원시림 속의 잰내비 상통(원숭이 얼굴) 그대로다. 인류가 진화되어 수백만년 흐르도록 잰내비 모양이다.”라 했지요. 지독한 인종차별 발언이지요. 존 케리 국무장관을 겨냥해서는 “주걱턱에 움푹꺼진 눈확(눈구멍), 푸시시한 잿빛 머리털에 이르기까지 승냥이 상통인데다…”라 표현했지요.
아무리 인종차별이자 성차별이고 인신공격이라 해도 개의치 않습니다.
그런데 1200년 전 최치원은 왜 발해를 향해 막말외교를 펼쳤을까요. 무슨 억하심정이 있었기에 그랬을까요.
돌이켜보니 그 때도 일종의 남북국 시대였고, 남(신라)과 북(발해)이 양립하고 있었던 시기였잖아요.
당나라에서 펼쳐진 치열한 외교전의 세계로 한번 들어가보겠습니다.
...more
View all episodesView all episodes
Download on the App Store

[경향신문]이기환의 흔적의 역사By 경향신문

  • 4.8
  • 4.8
  • 4.8
  • 4.8
  • 4.8

4.8

4 ra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