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23회 백성 버린 선조의 피란길, 그 참담한 징비록


Listen Later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23회 주제는 ‘백성 버린 선조의 피란길, 그 참담한 징비록’입니다.
비가 억수같이 내리던 1592년(선조 25년) 4월 30일 선조 임금이 피란길에 오릅니다.
임진왜란 발발로 왜군이 쳐들어오자 ‘무조건 피란’을 결정한 것입니다. 〈징비록〉, 〈선조수정실록〉 등을 보면 목불인견입니다. 선조가 벽제~혜음령을 지나자 밭을 갈던 백성이 대성 통곡합니다.
“나랏님이 백성을 버리면 누굴 믿고 살라는 것입니까.”
선조 일행이 임진나루에 닿았을 때 칠흑 같은 밤이었습니다. 임진강변의 승정(丞亭·나루터 관리 청사) 건물을 헐어 불을 피웠습니다. 천신만고 끝에 임진나루 건너의 동파역에 도착하자 파주 목사와 장단 부사가 음식을 준비했습니다.
하지만 위기가 닥치자 임금이고 뭐고 없었습니다. 하루종일 굶었던 호위병들이 임금에게 바칠 수라를 닥치는 대로 먹어치웠다네요. 한심 스토리는 그 뿐이 아니었습니다.
임금의 총애를 받던 사관 4인방(조존세·김선여·임취정·박정현)은 사초책을 불구덩이에 넣은 뒤 도망쳤답니다. 이것이 ‘사초 폐기’ 사건입니다. 임금의 피란길을 끝까지 수행한 자는 어의 허준을 비롯해 17명에 불과했습니다. 하기야 임금이 백성을 버리고 갔는데 어떤 신하가 임금을 지키겠습니까.
이후 임진나루까지 진격한 왜군은 짐짓 후퇴한 척 조선군을 유인했습니다. 뭔가 느낌이 이상했던 야전사령관(도원수) 김명원이 도강을 주저했습니다. 임시 조정은 “왜 빨리 진격하지 않느냐”면서 문신인 한응인을 급파합니다.
김명원으로부터 지휘권을 빼앗은 한응인은 단숨에 임진나루를 건넜습니다. 그러나 왜군의 유인책에 말린 조선군은 추풍낙엽처럼 패합니다. 〈징비록〉은 5월17일의 ‘임진나루 전투’를 두고 “봄날 꽃놀이 하듯 군대를 다뤘으니 대패한 것이 당연하다”고 한탄했답니다.
임진나루는 이렇듯 왜란의 수치와, 위기에 처한 인간 군상들의 온갖 행태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역사의 현장입니다. 서울~파주~개성~평양~의주를 잇는 유서깊은 ‘1번국도’의 관문이기도 했습니다.
오는 5월부터 군 보안 문제로 출입이 제한됐던 임진나루 구간(1.2㎞)이 단장돼 44년만에 개방된다고 합니다. 제가 군 부대의 허락을 얻어 답사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말입니다. 모쪼록 탐방으로만 그칠 것이 아니라 과거의 일을 반성하고 경계하는 ‘징비(懲毖)’의 현장으로 삼아야겠습니다. 늘 강조하지만 역사는 배우는 자의 몫이니까요.
...more
View all episodesView all episodes
Download on the App Store

[경향신문]이기환의 흔적의 역사By 경향신문

  • 4.8
  • 4.8
  • 4.8
  • 4.8
  • 4.8

4.8

4 ra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