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248회 ‘세금 거둘 땅 빼앗다니…’ 1500년 전 신라인의 판결문 뜯어보니


Listen Later

“응? 이거 뭔가 글씨 같은데?”
1988년 3월 20일 경북 울진 죽변면 봉평 2리 마을 이장 권대선씨는 길옆 개울에 처박혀있던 돌을 유심히 바라보고는 고개를 갸웃거렸다. 아무리 봐도 돌에 새겨진 문양은 글씨 같았다. 이 돌은 두 달 전인 1월 20일 주두원씨 소유 논에 거꾸로 박혀있다가 포크레인 작업으로 뽑아내어 길옆 개울로 버린 것이었다. 그러나 돌의 문양이 글씨라는 것을 확신한 권대선 이장은 즉시 죽변면사무소와 울진군청에 신고했다. 이것이 유명한 울진 봉평비(국보 제 242호)의 발견 이력이다.
봉평비는 앞면에만 모두 10행 397자(혹은 398자)이며, 비의 중간부분 일부를 빼면 대부분 판독할 수 있었다. 이 비석은 한마디로 판결문이다.
1500년 전의 역사를 찾아낸 이들이 고고학자도, 역사학자도 아닌 평범한 농부들이었다. 그들이 아니었다면 생생한 신라인들의 ‘삶의 현장’은 쓸모없는 돌로 버려졌거나 산산조각 났을 것이다.
...more
View all episodesView all episodes
Download on the App Store

[경향신문]이기환의 흔적의 역사By 경향신문

  • 4.8
  • 4.8
  • 4.8
  • 4.8
  • 4.8

4.8

4 ra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