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남편들은 ‘오징어’라는 소리를 곧잘 듣습니다. 그래서 뭐냐고 물었더니 ‘못생긴 남자’라는 뜻이랍니다. 왜 하필 ‘오징어냐’고 또 물으니 평면적이고 윤곽도 뚜렷하지 않는 오징어를 닮았으니 그런 소리를 들어도 싸다는 것입니다. 하기야 고금을 통틀어 오징어 이미지는 좋지 않습니다. 그 어원이 ‘까마귀 도적’ 즉 오적어(烏賊魚)에서 비롯된 것부터가 그렇습니다. 게다가 먹물로 바다를 흐리게 해서 먹이를 잡는다는 비열한 이미지까지 더해졌습니다. 그뿐이 아니라 오징어 먹물로 글씨를 쓰면 처음엔 선명하다가 시간이 흐르면 그 흔적이 떨어져나가 나중엔 빈종이로 변한다는 소리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징어 먹물은 ‘사기계약’ ‘거짓약속’의 대명사가 됐습니다.
하지만 오징어는 억울합니다. 그렇게까지 폄훼될 동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선 오징어는 맛도 좋습니다. 건강에도 그만입니다. 남자의 정력에도, 여성의 월경을 통하게 하는데도 좋답니다. 대체 오징어가 인간에게 무엇을 잘못했습니까. 드라마 〈태양의 후예〉의 주인공인 송중기와 비교해서 ‘오징어 아닌 남편’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안구정화를 위해 드라마 전후 30분간은 눈앞에서 얼쩡대지 말라는 말도 있답니다. 그럴 용의는 있습니다. 다만 한가지만 알아줬으면 좋겠습니다. 오징어는 못생겼지만 씹을수록 맛이 난다는 사실을…. 이번 주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주제는 ‘송중기 앞을 얼쩡거리는 오징어 남편의 비애’입니다. 오징어 이야기를 하는 김에 사람을 짐승에 비유해서 욕하고 비난하는 일을 역사적으로 더 찾아보았습니다. 악인의 대명사로 종종 인용됐던 올빼미입니다. 역사적으로 후백제를 세운 견훤과, 천재문인이자 풍운아인 허균, 그리고 노론의 영수였던 송시열 등이 올빼미 소리를 들었습니다. 이 사연 또한 곁들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