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미술

말하는 미술 8회 파트타임스위트 편


Listen Later

[말하는 미술] 8회에서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미술을 보는 방법으로,
작가와의 만남과 이야기를 택했습니다.
오늘 이 시간의 주인공은 2009년 결성된 파트타임스위트라는 콜렉티브 (박재영 이미연) 입니다.
우리의 동료라는 이름을 덧붙여주고 싶은, 미술 작가 콜렉티브 파트타임스위트의 이야기 한 조각, 지금부터 들어보시지요.
[말하는 미술]은 언제나 여러 청취자들의 눈과 귀,
아트스페이스 풀의 도움, [말하는 미술] 연구 모임과 [말하는 미술] 운영진 모두의 힘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번 [말하는 미술] 8회는 특별히 인문사회과학 전문서점 [레드북스], [국제 갤러리],
그리고 오늘의 춤으로, 새로운 시선을 제안하는 [국립현대무용단]의 후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프롤로그 중에서--
(중략)
한편, 작가 이름이 생소하다고 느끼시는 분들도 많으시겠지요?
파트 타임은 비정규, 일시적인, 이라는 시간의 개념
그리고 스위트는 잘 꾸며진 방이나 집, 세트, 라는 공간의 개념을 담은 단어들이지요.
얼핏 보면 반대되는 뜻의 단어들이 조합한 것 같기도 한 이 이름은,
파트 타임 스위트의 작가로서의 집합적 문제 의식,
이들의 작품들이 건드리는 주제들과 연관되어 있기도 합니다.
(중략)
2009년에 충정로의 한 건물 지하에서의 [언더인테리어],
서울의 전통적, 행정적 중심부인 광화문 사거리 공터에서의 [오프-오프-스테이지],
오래된 작은 골목과 높고 낮은 빌딩들이 밀집된 종로 5가 한 건물 옥상에서의 [공중제비]와 [루프 더 루프]..
이렇게 사회 속에서, 우리의 인식 속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곳들을 찾아,
그 장소들을 단기간 임대하거나 일시적으로 점유하고 연대하며
도시의 생활 그리고 사회의 조건들이 만들어낸 특성들을 도드라지게 합니다.
이런 모습에서 우리는 순응하지 않을때 발생하는 마찰음이 연상됩니다.
(중략)
...more
View all episodesView all episodes
Download on the App Store

말하는 미술By 말하는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