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채널 권경률

낭독 한국사 25회 '자주냐 사대냐, 나라를 구한 협상가들' 2부


Listen Later

점점 고조되는 북한의 전쟁 위협!
한반도를 둘러싼 세계적인 관심 혹은 우려에 대해
우리는 어떤 태도를 취해야할까?
당나라를 끌어들여 통일을 이룬
신라의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외교술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온고지신(溫故知新)과 법고창신(法古創新)
지금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선현의 지혜가 아닐까.
<삼국사기 : 신라본기> ‘진덕왕 2년’ 조
김춘추와 그 아들 문왕을 당나라에 입조시켰다. 태종이 광록경 유형을 보내 교외에서 맞이했다. 춘추가 국학에서 제사와 강론을 참관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자 황제가 허락했다. 또한 자기가 지은 글과 새로 편찬한 <진서(晉書)>를 하사했다. 이윽고 태종이 연회를 열어 물었다.
“그대는 속에 품은 말이 있는가?”
김춘추가 꿇어 앉아 아뢰었다.
“신의 본국은 바다 모퉁이에 치우쳐 있습니다만 천자의 조정을 섬겨오기를 여러 해 동안 해왔습니다. 그런데 백제는 강하고 교활해 여러 차례 저의 나라를 침략했습니다. 얼마 전에는 깊이 쳐들어와서 수십 개의 성을 함락시키고 당나라에 입조하는 길을 막았습니다. 만약 폐하께서 군대를 빌려주시어 그 흉악함을 잘라버리지 않는다면 저의 나라 인민은 모두 포로가 될 것입니다. 그리 되면 바다 건너 조공을 바치는 일도 다시는 할 수 없습니다.”
태종이 옳다고 여겨 출병을 허락했다. 이에 김춘추가 신라의 관복을 당나라의 예에 따르겠다고 하자 황제가 안에서 옷을 내오게 해 선물로 주었다. 춘추는 또 태종에게 청해 자신의 아들 문왕을 황제의 호위로 삼도록 했다.
박규수, <환재집> ‘헌의(獻議)’ 편
작금의 한반도는 열강 사이에 낀 나라로, 춘추전국시대 정나라의 처지와 비슷하다. 정나라는 진나라와 초나라, 두 강대국 사이에 있던 작은 나라였다. 게다가 진과 초가 꼭 차지해야 할 전략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었다. 때문에 끊임없이 침략 위협에 시달렸는데, 정나라는 오히려 이런 조건을 유리하게 활용했다. 두 강대국이 넘보지 못하도록 안으로 뭉치고 국력을 키우면서 중립외교를 펼친 것이다. 초나라와 진나라는 정나라가 원하는 대로 해줄 수밖에 없었다. 작은 나라지만 상대편에 붙으면 자국이 위험해지기 때문이다. 정나라는 덕분에 중원의 강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후 정나라가 혼란해지고 힘을 잃자 강대국들이 서로 먼저 먹으려고 쳐들어왔고 마침내 멸망하고 말았다.
...more
View all episodesView all episodes
Download on the App Store

역사채널 권경률By c7plannings

  • 5
  • 5
  • 5
  • 5
  • 5

5

1 ra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