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고치는 고스톱...이 아니라 면접을 거쳐
어렵지않게 공주의 남자가 된 '남자 신데렐라'의 원조, 응렴.
몰락한 왕족에서 부마를 거쳐 임금으로 즉위한
'당나귀 귀' 응렴의 인생 역전기!
<삼국유사>, ‘기이(紀異)’, 경문대왕
경문왕의 휘는 응렴(膺廉)이다. 나이 18세에 국선이 되었다. 약관에 이르자 헌안대왕이 그를 불러 궁전 안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왕이 물었다.
“그대는 국선이 되어 사방을 유람했다. 어떤 기이한 일을 보았는가?”
“신은 행실이 아름다운 사람 셋을 보았습니다.”
“그 이야기를 듣고 싶구나.”
“윗사람이지만 겸손하게 남의 아래 앉는 사람이 하나요, 부호이면서 옷이 사치스럽지 않고 검소한 사람이 둘이요, 귀한 권세를 지니고도 그 위엄을 함부로 쓰지 않는 사람이 셋입니다.”
왕이 그 말을 듣고 눈물을 떨구며 말했다.
“짐에게 딸이 둘 있다. 수건과 빗을 받들기를 청한다.”
응렴이 절을 올리고 고개를 조아려 물러났다. (이 사실을) 부모에게 고하니 놀라고 기뻐했다.
<삼국유사>, ‘기이(紀異)’, 경문대왕
응렴의 부모가 자제들을 모아놓고 의논하였다.
“왕의 맏딸은 외모가 몹시 못생겼고, 둘째딸은 매우 아름답다. 동생을 취하는 것이 좋겠다.”
그런데 응렴을 따르는 낭도의 우두머리 범교사(範敎師)가 그 소식을 듣고 찾아왔다.
“만약 둘째딸과 혼인하시면 국선의 면전에서 제가 죽겠습니다. 맏딸에게 장가드시면 반드시 세 가지 좋은 일이 있을 것입니다. 잘 살피십시오.”
응렴은 범교사의 말을 새겨듣고 헌안왕에게 맏딸을 받들겠다는 전갈을 넣었다. 그리고 석 달이 지나 왕의 병이 위중해졌다. 헌안왕은 죽음을 예감하고 신하들을 불러 모았다.
“짐에게는 대를 이을 아들이 없다. 짐이 죽으면 마땅히 큰딸의 남편인 응렴이 왕위를 잇도록 하라.”
다음날 왕이 세상을 떠나자 응렴이 유언을 받들어 즉위하였다. 이 분이 바로 경문왕이다. 이에 범교사가 새 왕에게 나아가 아뢰었다.
“제가 말씀드린 세 가지 좋은 일이 이제 모두 드러났습니다. 맏딸과 혼인한 덕분에 왕위를 물려받은 것이 첫째요, 아름다운 동생 또한 쉽게 얻을 수 있으니 둘째요, 못생긴 언니에게 장가들어 돌아가신 왕과 부인을 기쁘게 해드린 게 셋째입니다.”
경문왕이 그 말을 덕스럽게 여겨 대덕(大德)의 작위를 주고 황금 130냥을 하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