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왕국 #한국사 #조문국
역사서에 단 한 줄의 언급만 남기고 사라진
한반도의 미스터리 고대 왕국 ‘조문국’ 이야기!
고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존재했던 초기국가 형태(읍락국가)의 나라,
조문국에 관한 직접적인 문헌 기록이 너무 부족한 관계로
간접 자료까지 최대한 활용하여 대사에 정보를 녹였습니다. 참고해주세요!
뒷부분 유물에 관한 추가 자료 덧붙입니다 (7:00 굽다리접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자막과 내레이션입니다!)
*의성 금성면 고분군(사적 제555호)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백제 상류층이 주로 썼던 모자인 '금동관모'가 의성군 고분에서 출토. 경북 북부지역에서 최초로 발굴된 금동관모에는 백제 관모 특징인 길쭉한 장식봉이 붙어있다. 이는 백제와의 교류관계와 고대 의성 지배세력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해당 출토품은 조문국이 백제, 고구려와 교류하며 신라와는 별개의 세력을 유지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주 성림문화재연구원]
*'굽다리접시
'
신라가 낙동강 상류 지역 진출 이후 출토되는 재지계 토기 중 금성산 고분군에서 출토되는 토기는 다른 지역의 토기와 구분될 정도로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를 ‘의성 양식 토기’라 부르는데 낙동강 상류 지역 출토 토기 중에서 소지역 양식이 정의된 몇 안 되는 토기 양식이다. 의성 양식 토기 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 굽다리 접시·목 항아리·항아리·뚜껑 등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참고
삼국사기:신라본기
강종훈, 2000,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김병곤, 조문국의 탄생과 성장
박정화, 금성산고분군에 나타난 의성지역 지배세력의 성격
조범환, 「召文國과 斯盧國과의 관계 변화과정과 그 영향」,, 경북 의성군·한국고대사탐구학회
조범환, 『조문국의 성쇠와 지배세력의 동향』, 경북 의성군·한국고대사탐구학회
이부오, 斯盧國의 팽창과 召文國의 지배세력
한국자치학회, 「의성군 우수정책사례-조문국박물관:21세기에 모습을 드러낸 고대국가 ‘조문국’」
이종욱, 신라국가형성사연구
전덕재, 고대 의성지역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고찰
※음악
Track : 서리꽃 (Frost flower)
Composer : 눈솔
Watch : https://youtu.be/8Erdny-jZW4
조성욱 - 비가(悲歌)
출처 및 저작권표시 - 공유마당, CC BY
링크: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
𝑴𝒖𝒔𝒊𝒄 𝑷𝒍𝒂𝒚𝒍𝒊𝒔𝒕 : https://youtu.be/OZwwvl4P_y4
박세임 - 설화
출처및저작권표시 - 공유마당, CC BY
링크: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
𝑴𝒖𝒔𝒊𝒄 𝑷𝒍𝒂𝒚𝒍𝒊𝒔𝒕 : https://youtu.be/OZwwvl4P_y4
Music: All The Tea In China by Shane Ivers - https://www.silvermansound.com
Promoted by BreakingCopyright: http://bit.ly/Savfk-TheGrid
ART19 개인정보 정책 및 캘리포니아주의 개인정보 통지는 https://art19.com/privacy & https://art19.com/privacy#do-not-sell-my-info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