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은 금연 정책을 강하게 추진 중이다. 담배와 관련된 질병으로 유럽에서만 연간 70만 명이 사망하고, 의료비용은 연간 230억 유로를 넘어서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유럽집행위원회 승인이 끝난 흡연규제방안을 보면 담뱃갑 포장 앞뒤로 "흡연이 당신을 죽인다. 당장 끊어라!"라는 경고 문구와 질병사진을 넣도록 되어 있다. 그것도 65% 이상을 차지할 만큼 넓게 넣도록 규정하고 있다. 청소년이 담배 배우기 쉽도록 집어넣던 박하, 바닐라, 딸기 향의 첨가는 금지된다.
담배의 해독이 적어 보여 흡연을 유도하는 슬림형 담배는 생산을 금지시키려 했으나 무산됐다. 담배회사의 로비에 밀린 때문이다. 첨가물 금지도 2015년부터 전면시행 하려던 것인데 역시 로비에 밀려 2022년부터로 미뤄졌다. 담배업계가 EU로비에 쓰는 비용이 연간 500만유로(약 70억 원)나 되고 풀타임 로비스트 100명을 고용하고 있다는 소식. 올 2월에 폭로돼 유럽의회에서 청문회까지 열린 큰 이슈였다. EU 보검담당 집행위원이 이 문제로 사임하기도 했다. 문제는 발각된 로비가 이 정도이지 다 드러나면 어느 규모일지는 모르는 일이다.
담배회사의 로비는 영국에서도 문제를 일으켰다. 영국은 담뱃갑에서 상표를 없애려는 정책을 준비하다 뒤로 미뤘다. 보수당 자문위원이 담배회사 로비(필립 모리스, 브리티시아메리칸 토바코)에 연관된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사태가 정리되고 다시 추진되고 있지만 전 세계 어디에서건 다국적 담배회사의 로비는 뿌리가 깊고 강하다. 담배회사들은 유엔과 세계보건기구가 흡연규제에 나서는 것을 막기 위해 수십 년 간 로비를 펼쳐왔다. 세계보건기구의 경우 1987년 ‘smoke free society 연기 없는 사회’를 목표로 내걸 만큼 흡연을 인류 건강의 심각한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다. 여기에 담배회사들이 로비로 맞서 정계와 학계, 언론계를 움직였고, 세계보건기구는 2012년 세계금연의 날 표어를 “담배회사의 거짓말과 음모”라고 내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