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그동안 진행돼 온 EU와의 협력협정 체결을 잠정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이에 대해 서구 유럽화의 새 시대를 꿈꿔 온 시민세력과 야당에 의해 반정부 시위가 시작됐다. 우크라이나 여당이 집회.시위 규제 강화법을 만들어 반발을 억누르려다 사태가 악화돼 집시법은 백지화됐고 총리가 사태 전반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수습국면에 들어가는 듯 했다. 그러나 시민시위대 철수 과정에서 반정부 세력과 진압부대 간에 유혈 충돌이 벌어져 26명이 숨지면서 사태는 다시 악화됐다. EU가 우크라이나 정부 고위관리들의 자산을 동결하고 여행금지 조치를 내리는 등 강경대응에 나섰고 시민과 야당의 저항이 거세졌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친러시아파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수도 키예프를 떠나 동부 하리코프 지역으로 피신했다. 우크라이나 의회는 곧바로 야권 지도자 티모셴코 전 총리를 석방했고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퇴진과 5월 조기 대통령선거를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