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k To Me In Korean

Iyagi #137 / 고향 / Hometown / Natural talk in 100% Korean


Listen Later

Where is your hometown? Do you still live in your hometown or do you live in a different city or country? If so, how often do you go back to visit your hometown?

S : 석진 / K : 경화
K: 안녕하세요. TalkToMeInKorean의 이야기입니다.
S: 안녕하세요. 여러분.
K: 안녕하세요.
S: 안녕하세요. 경화 씨.
K: 안녕하세요. 석진 오빠.
S: 여러분, 제가 다시 돌아왔습니다.
K: 와! 반가워요.
S: 저번 주에는 제가 너무 바빠서, 효진 씨하고 경화 씨가 이제 이야기를 도와줬는데요. 이번 주제가 뭐죠?
K: 오늘 주제는 고향이요.
S: 고향이요?
K: 네.
S: 경화 씨는 고향이 어디예요?
K: 저는 태어난 곳이 광주, 전라남도 광주죠.
S: 전라남도 광주.
K: 네.
S: 저는 경상북도 포항입니다.
K: 아! 포항이 경상북도에 있군요.
S: 네. 보통 고향이 어떤 곳이죠?
K: 자신이 태어난 곳이죠.
S: 네. 태어난 곳. 그런데 저는 고향 하면 다른 곳이 먼저 떠올라요.
K: 어디가 떠올라요?
S: 보통 고향이라고 하면 그런 이미지가 있잖아요. 아주 농촌이고, 도시가 아닌 아주 시골이고, 논과 밭이 있고, 집이 아주 허름하고, 할머니, 할아버지가 계신 곳. 저는 그런 이미지가 있었거든요.
K: 뭔가 그 고향이라는 단어 자체가 뭔가 약간 시골 느낌이 나긴 하죠.
S: 맞아요.
K: 근데 광주는, 그냥 이제 서울만큼 그런 번잡한 도시는 아니지만, 그냥 도시예요. 여느 도시와 같은. 포항도 그런가요?
S: 포항도 도시예요.
K: 네. 그런데 오빠가 지난번에 바닷가에 사셨다고 말씀하신 거 들었거든요. 바닷가에 있는 도시 맞나요?
S: 맞습니다. 그렇게 시골이 아니에요. 그런데 사람들이 많이 오해를 하세요. 그러니까 포항이라고 하면 자신들이 잘 들어 보지 않은 도시니까, 뭐 부산이나 울산처럼 그렇게 유명한 도시가 아니잖아요.
K: 네.
S: 그러다 보니까 왠지 논과 밭이 있고, 사람들이 다 농사를 짓고 있을 것 같은 그런 곳인 줄 아나 봐요. 그래서 “너 고향 어디니?”라고 묻지 않고, “너네 시골이 어디니?” 이렇게 묻는 사람이 또 있더라고요.
K: 근데 저는 사실 어렸을 때 포항에 대한 로망이 있었어요.
S: 진짜요?
K: 네.
S: 뭐예요?
K: 왜냐하면 포항에 포항 제철이 있잖아요. (그렇죠.) 가장 크죠. 우리나라에서.
S: 그렇죠.
K: 그리고 포항 스틸러스 축구팀이 있잖아요.
S: 아, 맞아요.
K: 그래서, 거기에 이동국 선수가 있었잖아요.
S: 그때 제가 고등학교 때 인기가 정말많았어요.
K: 네. 홍명보 선수도 포항 출신이죠?
S: 그렇죠. 그렇죠.
K: 네. 그래서 “아, 나도 포항 가고 싶다.” 이런 생각을 했었어요. 축구 선수들보려고.
S: 축구 선수 때문에?
K: 네. 네.
S: 저는 그게 좀 콤플렉스였어요.
K: 왜요?
S: 포항은 축구장만 있거든요.
K: 축구장만 있다는 게 무슨 말이에요?
S: 다른 좀 큰 도시는 야구장, 배구장 뭐 이런 게 있잖아요. 저는 그런 경기를 보고 싶었는데 축구장밖에 없으니까.
K: 오빠는 축구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나요?
S: 물론 좋아했긴 했는데, 어렸을 때는 배구를 더 좋아했었어요.
K: 아... 그럼 포항에는 배구팀이 없군요.
S: 없죠.
K: 그 지역에 그 팀이 있어야 사실 경기장이 있잖아요.
S: 그렇죠.
K: 아니, 반대인가요? 경기장이 있으면 팀이 생기는 건가요?
S: 아마 경기장이 먼저 생겨야지 선수가 생길 거예요.
K: 저는 사실 이제, 광주는 너무 어렸을 때 살아서 사실 기아 타이거즈보다 해태 타이거즈 시절에 제가 살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이제 그 농구팀, 뭐 축구팀, 이런 얘기하면은 제가 인생의 반을 살아온, 지금도 살고 있는 안양이 먼저 떠오르는데, 안양에는 농구팀도 있고, 다 있어요. 근데 축구팀은 있었다가, 어렸을 때 있었는데 없어졌었어요.
S: 그렇군요.
K: 네. 그래서 정말 아쉬웠어요.
S: 포항은 좀 잘된 게, 야구장이 생겼어요. 그렇다고 포항에 야구팀이 생긴 건 아니고, 대구에 있는 삼성 팀이 거기서 경기를 하는 거죠.
K: 아, 그렇군요.
S: 그런데 경화 씨는 고향 하면 뭔가 떠오르는 그런 기억이 있나요?
K: 저는 아까 오빠가 사람들이 포항을 시골이라고 오해를 한다고 아까 말씀하셨잖아요.
S: 네.
K: 근데 저도 그 비슷한 추억이 있는데요. 제가 어렸을 때 광주에 살 때, 서울에서 사람들이 이제 가끔 내려오면, “시골에 왔더니 공기가 좋다!” 뭐 이런 식으로 시골이란 말을 썼을 때 굉장히 예민하게 반응했어요. 왜냐하면 “눈에 보이는 게 농촌이 아니라 도시인데, 왜 시골이라고 하느냐.” 그랬는데, 제가 경기도에 올라와서 살고 몇 년이 흐르니까, 저도 모르게 광주 내려갈 때 “시골 내려간다.” 이렇게 얘기하고 있더라고요.
S: 정말 그렇죠. 서울에 얼마 동안 있다가, 그 다음에 고향에 내려가면 고향이 정말 작아진 느낌이 많이 들어요.
K: 네. 그래서 시골이란 단어에, 광주에 살 땐 되게 민감했었는데, 언젠가 나도 모르게 지방 도시를 그냥 시골이라고 부르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어요.
S: 그렇군요.
K: 네.
S: 그리고 경화 씨는 “고향이 좀 그립다.”라는 생각이 들어본 적 있나요?
K: 사실 안양에 처음 이사 왔을 때는 많이 그리웠어요. 친구들도 그립고, 또 제 인생에 사실 처음으로 이사를 한 거였는데, 너무 멀리 왔잖아요.
S: 그렇죠.
K: 그냥 이 동네에서 저 동네로 간 것도 아니고, 다른 도시로 그것도 위로 한참 올라왔기 때문에 처음에는 많이 그리웠어요. 그런데 이제 시간이 지나니까 광주에 대한 추억을 점점 잊게 되는 거예요. 그래서 아마 제가 광주라는 말을 들었을 때 친근함? 그러니까 고향이라는 느낌이 사라지기 시작한 게 대학생이 돼서였던 것 같아요. 그때 이제 제가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안양에 살았는데 고등학교 때까지만 해도 “나는 광주 사람이다.” 이런 느낌이 있었어요.
S: 네.
K: 그런데 대학교에 갔는데 지방에서 다 올라오잖아요. 그래서 같은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끼리 뭉치더라고요.
S: 그렇죠.
K: 네. 그래서 저는 당연히 “나는 광주 사람이니까.”, 광주 학생들이 모여 있는, 광주 출신 학생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갔어요. 그랬더니 이렇게 물어보더라고요. “어디 고등학교 나오셨어요?” 그랬더니 “저는 중 1때까지 광주에서 살았어요.” 이랬더니 “아, 그럼 광주 사람이 아니네!”
S: 아이고, 그렇다고 광주라고 인정을 안 하면 안 되죠.
K: 그러면서 대화에 끼지를 못하겠더라고요. 고등학교 얘기를 많이 하다 보니까. 그래서 “나는 광주 사람이 아니구나. 이제 더 이상.” 이런 생각을 갖
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나는 그럼 안양 사람인가?” 이러면서 그때부터 뭔가 고향에 대한 느낌이 광주에서 사라진 것 같아요.
S: 좀 어린 나이에 이제 고향을 떠나다 보니까, 고향이라고 느껴지는 게 좀 약간 적어진 것 같아요.
K: 맞아요. 그 딱 경계선이 고등학교 때까지 어디 살았는지가 되게 중요한 것 같아요. 왜냐하면 고등학교 때까지 만약에 광주에 살고, 서울로 대학을 온 분들은 뭐 십몇 년이 지나도 되게 광주에 대한 애착, 그리고 “광주가 내 고장이다.” 이런 게 되게 강하시더라고요. 근데 어릴 때부터, 특히 제 동생은 더 어릴 때 왔잖아요. 광주에 대한 기억 자체가 거의 없고요. 그렇더라고요. 역시 나이가...
S: 그렇군요.
K: 네.
S: 저는 대학교 때 처음 고향을 떠나 봤어요. 경기도 안성으로 제가 스무 살 때 올라와서 거의 지금까지 고향을 떠나 살고 있는데, 저는 아직까지도 지금 서울에서 한 3년 동안 살고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 살고 있는 게 약간 무서운 그런 느낌이 있어요. 포항에 가면 뭔가 좀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들고, “여기 사람들은 뭔가 좀 더 착 하고, 좀 속이려는 마음이 없다.” 이렇게 생각이 들곤 하거든요. 그런데 이상한 게, 제가 포항에 있을 때, 어렸을 때 깡패를 많이 만나고, 돈도 많이 뺐기고 했는데, 정작 서울에 올라와서는 그런 적이 한 번도 없거든요. 그런데 아직까지도 마음속에는 “아직 서울이란 곳은 무서운 곳이다. 고향이 아닌 곳은 아직 좀 무섭다.” 그런 느낌이 아직 있는 것 같아요.
K: 저 뭔지 알 것 같아요. 왜냐하면 제 주위에 심지어 대학교마저 광주에서 졸업을 하고 서울로 직장을 온 친구들, 그러니까 언니들이 많이 있는데요. 굉장히 힘들어하더라고요. 그래서 아까도 말했지만 어릴 때 오는 거랑, 나중에 커서 오는 거랑 되게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그게 아마 가족과 친구들이 다 그곳에 있기 때문인 것 같아요. 그래서 여기에는 뭔가나 혼자인 느낌이고 다 새로 사귄 사람들인데, 특히나 만약에 사회에 나와서 사귄 사람들은 그렇게 뭐 친구 같은 느낌은 잘 없잖아요. 그렇다 보니까 굉장히 힘들어하고, 저는 이제 벌써 뭐 서울이 냉정하고, 서울 사람들이 되게 차갑고, 이런 느낌이 이제 없는데, 그분들은 굉장히 그게 심해요. 되게 냉정하게 느껴진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내려가는 경우도 많이 봤어요. 근데, 그 얘기하니까 또 생각나는 게, 제가 중학교 때 안양으로 이사를 왔다 그랬잖아요. 근데 아마 오빠도 그랬을 거예요. 학교가 안성에 있었지만 포항에서는 그냥, “그 안성도 다 서울이다.” 이렇게 생각했죠?
S: 그렇죠. 경기도권은 다 서울이에요.
K: 바로 그거죠. 저도 “안양으로 이사를 간다.” 하면 다 모르고 그냥 “어차피 서울이잖아.” 이렇게 얘기했었거든요. 광주에서는.
S: 네.
K: “서울로 이사 가니?” 이렇게 했었는데. 제가 너무 서울로 이사 가는 게 겁이 나는 거예요. 어린 마음에.
S: 겁나죠.
K: 네. 그리고 “서울 사람들은 굉장히 쌀쌀맞고 냉정하다.” 이런 얘기를 많이 들어서 저희 반에 서울에서 전학 온 친구가 있었어요. 근데 물어본 기억이 나요. “서울 사람들이 더 착해? 광주 사람들이 더 착해?” 이렇게. 그랬더니 그 친구가 “광주 사람들이 훨씬 더 착하지.” 이렇게 말을 했던 거예요. 그래서 더 겁을 먹었었는데, 막상 올라오니까 여기 분들은 말을 더 예쁘게 하잖아요.
S: 그렇죠.
K: 광주 사람들은 굉장히 무뚝뚝하게 하거든요.
S: 한편으로는 무섭죠.
K: 맞아요. 마음은 진짜 따뜻한데, 처음 딱 대화를 나눌 때는 굉장히 무서워요. 특히, 아저씨들과 대화를 나눌 때는 뭔가 “왜 저한테 화가 나셨지? 처음 만나서 대화하는데, 왜 이렇게 화를 내시지?” 이런 느낌이 들기 때문에, 사실 서울 사람들이 훨씬 더 착하게 느껴졌었어요. 말투 때문에.
S: 그랬군요.
K: 네.
S: 지금까지 저희가 고향에 대해서 얘기를 해 봤습니다.
K: 네. 사실 또 정확히 말하면, 광주와 포항에 대해서 얘기를 한 것 같아요.
S: 그렇죠. 저희 고향이 포항과 광주니까.
K: 그렇죠.
S: 여러분의 고향은 어디인가요?
K: 네. 태어난 곳에서 오래 사셨으면은, 아무래도 추억이 있겠고, 저희 어머니처럼 딱 태어난 지 뭐 1년, 2년, 그러니까 두 살 때 이사를 가면 거의 뭐
그냥 고향이라는 느낌이 없을 것 같아요. 그래서 어디에서 태어나셨는지, 또 거기가 그리우신지...
S: 네. 여러분의 이야기를 꼭 댓글로 남겨 주세요.
K: 오빠도 꼭 답글을 달아 주세요.
S: 저 요새 답글 열심히 달고 있어요.
K: 아, 진짜요?
S: 네.
K: 좋아요.
S: 네. 그럼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
K: 안녕히 계세요.

...more
View all episodesView all episodes
Download on the App Store

Talk To Me In KoreanBy Talk To Me In Korean

  • 4.7
  • 4.7
  • 4.7
  • 4.7
  • 4.7

4.7

551 ratings


More shows like Talk To Me In Korean

View all
Learn Korean | KoreanClass101.com by KoreanClass101.com

Learn Korean | KoreanClass101.com

286 Listeners

JTBC 뉴스룸 by JTBC

JTBC 뉴스룸

140 Listeners

Talk To Me In Korean - Core Grammar Lessons Only by Talk To Me In Korean

Talk To Me In Korean - Core Grammar Lessons Only

473 Listeners

ニュースで韓国語 by ニュースで韓国語

ニュースで韓国語

1 Listeners

Real-Life Korean Conversations For Beginners by Talk To Me In Korean

Real-Life Korean Conversations For Beginners

148 Listeners

 by

57 Listeners

Talk To Me In 100% Korean by Talk To Me In Korean

Talk To Me In 100% Korean

51 Listeners

한국어 한 조각 Korean teacher A piece of Korean by Korean teacher 한국어 한 조각

한국어 한 조각 Korean teacher A piece of Korean

18 Listeners

여둘톡 by 여자 둘이 토크하고 있습니다

여둘톡

213 Listeners

Choisusu's Korean Podcast by Choisusu

Choisusu's Korean Podcast

46 Listeners

혼자 있는 게 좋아 by 린 Lin

혼자 있는 게 좋아

5 Listeners

Didi의 한국문화 Podcast (Korean Podcast) by Didi

Didi의 한국문화 Podcast (Korean Podcast)

44 Listeners

Cozy Storytime in Korean by Storytime in korean

Cozy Storytime in Korean

44 Listeners

우주먼지들의 하찮은 이야기 by 우주먼지

우주먼지들의 하찮은 이야기

6 Liste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