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으로 가짜뉴스를 막을 수 있을까?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가 차미영 교수가 말하는 가짜뉴스의 패턴과 그 대응 방안, 네트워크는 가짜뉴스를 알고 있다. 나는 나를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메타인지 전문가 손리사 교수가 말하는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메타인지 사용법. 과학 전문 기자 강양구가 팩트체크해보는 미세먼지, 누구의 책임인가? 소통해야 힘이 된다, 과학커뮤니케이터 궤도가 말하는 과학 소통의 필요성. 윤태진 박사가 안내해주는 인류의 삶을 변화시킬 신약 개발의 트렌드. 왜 인간은 인간이 우주의 중심이라고 생각하는가? 인간 중심주의가 가진 문제점 등 흥미로운 기사로 가득한 스켑틱 18호.
-
News&Issues
미세먼지, 누구의 책임인가? | 강양구
과학, 소통해야 힘이 된다 | 궤도
신약 개발의 모험 | 윤태진
Cover Story 가짜뉴스에는 패턴이 있다
네트워크는 가짜뉴스를 알고 있다 | 차미영
가짜뉴스를 막을 저널리즘의 15가지 지침 | 데이비드 카원
무분별한 데이터 마이닝을 주의하라 |게리 스미스
Special Section 메타인지를 통해 본 교육의 방법
아이들에게는 ‘불편한 학습’이 필요하다 | 손리사
Theme 비판적 사고를 위한 심리학 시리즈
편견과 착각에는 이유가 있다 | 이상아
Column
점성술사가 되는 가장 간단한 방법 | 제임스 랜디
사람이 된다는 건 어떤 느낌일가 | 콜린 맥긴
Focus 우주는 인간을 중심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인간만이 특별한 존재인가 |데이비드 자이글러
우주에 목적이 있다는 믿음이 지속되는 현상에 대하여 | 랠프 루이스
왜 ‘하필’ 이 우주가 존재하는가 | 마이클 셔머
집중연재
유전자를 찾아서 | 이대한
진화, 생명을 설명하는 물리학 너머의 법칙 | 김상욱
Agenda & Article
다시 도발하는 ‘지적설계론’ | 네이선 렌츠
종교를 믿는 학생에게 진화론 가르치기 | 수라트 파바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