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세계에서 세 번째로 넓고, 인구도 세 번째로 많은 나라 미국. 여러 민족과 다양한 문화가 어우러진 '자유와 기회의 나라' 미국이 어떻게 세워졌고, 세계 최강대국이 됐는지 역사를 통해 알아봅니다.... more
FAQs about VOA 이야기 미국사 - Voice of America:How many episodes does VOA 이야기 미국사 - Voice of America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683 episodes available.
March 29, 2024[VOA 이야기 미국사]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 (7)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에 관해 전해 드립니다. 1968년 1월, 베트남 음력 설인‘뗏(Tet)’ 휴일이 시작됐습니다. 공산주의자들은 음력 설에 대규모 군사 작전을 감행했습니다. ‘구정 대공세’ 또는‘뗏 대공세’로 알려진 총공격에서 공산군은 남베트남 44개 지역 중 31개 지역을 공격했습니다. 공산군은 심지어 수도 사이공에 있는 미 국 대사관까지 공격했습니다. 이 기간에 수많은 군인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구정 대공세’ 동안 북베트남 공산군 5만 명, 남베트남군 1만 4천 명, 그리고 미군 2천 명이 사망했습니다. 베트남 최대 명절을 시작으로 쏟아진 총공세로 군인뿐만 아니라 베트남 민간인 수천 명이 희생됐습니다....more10minPlay
March 22, 2024[VOA 이야기 미국사]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 (6)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에 관해 전해 드립니다. 1965년 5월. 미국은 6일 동안 북베트남에 대한 공습을 중단했습니다. 린든 존슨 대통령 행정부는 공습을 잠시 멈추는 것이 북베트남 정부가 협상을 시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북베트남은 협상을 거부했습니다. 미국은 남베트남에 미군을 더 투입해 병력을 늘리기 시작했습니다. 1965년 7월에 이르자, 미군 12만5천 명이 베트남에서 전투를 벌이고 있었습니다. 1965년에 존슨 대통령은 베트남에 파견하는 전투 병력 규모를 10만 명 이상으로 늘렸고, 3년 만에 그 수는 50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전쟁이 길어지고 참전 군인 수가 갈수록 늘어나면서 일부 미국인은 분노했습니다. 베트남전에 대한 미국 내 반전 여론이 높아지면서, 미국 전역에서 반전 시위가 계속됐습니다. 미국 주요 도시인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에서도 반전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자세한 이야기 함께 하시죠....more10minPlay
March 15, 2024[VOA 이야기 미국사]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 (5)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에 관해 전해 드립니다. 1965년 1월, 린든 존슨 대통령의 새 임기가 시작되자, 대통령 군사 고문들은 공산주의자들이 전쟁에서 지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대통령 군사 고문들은 북베트남 군대와 베트콩 군이 머지않아 전투를 중단할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약 한 달 뒤인 2월 6일, 베트콩은 베트남 중부 쁠래이꾸(Pleiku)에 있는 미군 특수부대 기지를 기습 공격했습니다. 존슨 대통령 행정부는 즉시 북베트남 군사 목표물에 대한 공습을 명령했습니다. 존슨 대통령 행정부는 북베트남 공습 명령과 함께 지상군 파병을 단행했습니다. 1965년 3월, 첫 번째 미국 지상군이 남베트남에 도착했습니다. 미국은 해병대가 남베트남의 항구도시이자 휴양지인 다낭(Da Nang)에 상륙한 것을 시작으로 베트남 파병을 본격화했습니다....more10minPlay
March 08, 2024[VOA 이야기 미국사]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 (4)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에 관해 전해 드립니다. 린든 존슨 대통령은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의 남은 임기 14개월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했습니다. 그리고 1964년, 존슨 대통령은 이번에는 대통령으로서 정식 임기를 갖기 위해 대선에 도전했습니다. 존슨 대통령 소속 정당인 민주당은 존슨 대통령을 적극 지지했습니다. 존슨 대통령은 허버트 험프리(Hebert Humphrey) 의원을 부통령 후보로 선택했습니다. 미네소타주 출신인 허버트 험프리 의원은 진보적인 성향의 상원의원이었습니다. 1964년 11월, 미국 전역에서 대통령 선거가 실시됐습니다. 민주당의 린든 존슨 후보는 전체 유권자 득표에서(popular votes) 60%가 넘는 표를 얻으며 대통령에 당선됐습니다. 자세한 이야기 함께 하시죠....more10minPlay
March 01, 2024[VOA 이야기 미국사]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 (3)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에 관해 전해 드립니다. 1968년 민권법은 주택문제를 다뤘습니다. 오랫동안 미국 흑인들은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집을 살 수 없었습니다. 부동산 회사들은 흑인들이 열악한 주택에 높은 비용을 지불하게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1968년 민권법의 목적은 주택 시장에서 흑인들에게 자유로운 선택과 공정한 대우를 보장하는 것이었습니다. 정치 전문가들은 존슨 대통령이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은 결코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의회와의 관계에서 성공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왜냐하면, 존슨 대통령은 남부 출신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텍사스가 고향인 존슨 대통령은 남부 의회 의원들과 쉽게 대화할 수 있었습니다. 존슨 대통령은 남부 의원들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는 사실에 동의하게 했습니다....more10minPlay
February 23, 2024[VOA 이야기 미국사]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 (2)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에 관해 전해 드립니다. 존슨 대통령은 취임 후 첫 의회 연설에서 전임 케네디 대통령의 정책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존슨 대통령은 연방 상원의원 시절에는 케네디 대통령의 민권 법안에 반대했습니다. 하지만, 대통령이 된 후에는 의회에 민권 법안 통과를 촉구했습니다. 1964년, 연방 의회는 Civil Rights Act, 즉 민권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케네디 대통령이 추진했던 이 민권법은 인종과 종교, 민족, 성별을 근거로 차별하는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하는 획기적인 법이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미국은 학교나 사업체, 도서관, 수영장 같은 공공시설에서 인종차별이 행해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권법은 고용주들이 직원을 차별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했습니다. 자세한 이야기 함께 하시죠....more10minPlay
February 16, 2024[VOA 이야기 미국사]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 (1)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린든 존슨 대통령 시대에 관해 전해 드립니다. 린든 존슨은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교사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교사로서 린든 존슨은 학생 지도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교사 생활은 그다지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과거 멕시코 영토였던 텍사스에는 남미계 주민이 많이 살고 있었습니다. 린든 존슨은 멕시코계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이들이 몹시 가난하고 힘들게 산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린든 존슨은 교사보다는 정치인이 되면 어려운 사람을 더 잘 도울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지역 정치인의 선거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린든 존슨은 정치인 아버지를 보고 자라면서 일찍부터 정치에 대한 꿈을 키웠습니다. 린든 존슨은 어릴 때부터 정치인 기질이 남달랐습니다....more10minPlay
February 09, 2024[VOA 이야기 미국사]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대 (10)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 시대에 관해 계속 전해 드립니다.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의 죽음을 조사하기 위해 공식 위원회가 구성됐습니다. 당시 얼 워런(Earl Warren) 대법원장이 이 위원회를 이끌면서 케네디 대통령 암살 규명을 위한 조사 위원회는 워런위원회(Warren Commission)로 불렸습니다. 워런위원회는 10개월간의 조사 결과 1964년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은 리 하비 오즈월드에 의한 단독범행으로 결론지었습니다. 워런 보고서는 케네디 대통령 암살과 관련해서 대통령을 살해하려는 음모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고했습니다. 워런 보고서는 케네디 대통령의 죽음은 오즈월드 단독범행이었고, 암살과 관련한 음모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more10minPlay
February 02, 2024[VOA 이야기 미국사]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대 (9)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 시대에 관해 계속 전해 드립니다.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 암살 혐의로 기소된 리 하비 오즈월드(Lee Harvey Oswald)는 전직 미 해병대원이면서 공산주의자였습니다. 오즈월드는 소련에서 얼마 동안 살았고, 소련 시민이 되려고 시도한 적도 있었습니다. 오즈월드는 또, 쿠바의 공산주의 정부를 지원하는 위원회에서 일했습니다. 경찰은 오즈월드에게 케네디 대통령의 죽음에 관해 심문했습니다. 하지만, 오즈월드는 자기는 아무도 죽이지 않았다며 결백을 주장했습니다. 11월 24일 아침, 2박3일 동안 구금됐던 오즈월드는 댈러스 경찰서에서 다른 교도소로 이송됐습니다. 미국인들은 리 하비 오즈월드가 이송되는 장면을 지켜봤습니다. 이송 도중 오즈월드가 총을 맞고 쓰러지는 모습이 텔레비전 방송 카메라에 고스란히 담겼습니다. 자세한 이야기 함께 하시죠....more10minPlay
January 26, 2024[VOA 이야기 미국사]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대 (8)VOA 이야기 미국사, 오늘은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 시대에 관해 계속 전해 드립니다. 케네디 대통령은 지금이 새로운 민권법안을 발의해야 할 때라고 판단했습니다.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이 제안한 새로운 민권법은 공공장소와 직장에서 흑인에게 평등한 대우를 보장하는 것이었습니다. 케네디 대통령은 임기 내내 민권 증진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보였고, 민권 법안의 기반을 세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케네디 대통령이 제안한 새 민권법안은 학교에서 벌어지는 인종 차별을 더 빨리 종식할 수 있는 법안이었습니다. 케네디 대통령은 새로운 법안이 통과되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하지만, 의회는 법안 통과를 미뤘습니다. 미 의회는 케네디 대통령 행정부 이후인 1964년이 되어서야 광범위한 민권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more10minPlay
FAQs about VOA 이야기 미국사 - Voice of America:How many episodes does VOA 이야기 미국사 - Voice of America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683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