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hits the spot.
바로 이거야.
It’s relieving my hangover.
숙취가 좀 풀린다.
'sth hits the spot' 은 우리말로 '딱이야' 라는 의미의 표현인데요,
화살이 과녁의 정중앙을 맞추듯이 내가 원하던 것이나 필요한 것
을 갖게 되었을 때 사용합니다.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바로 이 맛이야' 라고 말하거나
멋진 풍경을 보고 '바로 이거야' 와 같이 말할 때
'It really hits the spot' 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relieve'는 '기분이나 증상을 완화하다' 라는 뜻의 동사죠.
'hangover' 는 '술을 마시고 나서 느끼는 후휴증, 즉 숙취를 말합니다.
'relieve one's hangover' 는 '숙취가 풀리다' 라는 의미가 되겠죠.
You look terrible.
상태가 안 좋네.
Why did you drink so much?
왜 그렇게 많이 마셨어?
'look terrible' 은 '몰골이 좋지 않다' 라는 표현이죠.
'look' 다음에 형용사가 오면 '~해 보인다' 라는 뜻이 됩니다.
'너 피곤해 보인다' 라는 말은 'You look tired'
'나 괜찮아 보여?' 라는 말은 'Do I look okay?'
'너 화나 보여' 라는 말은 'You look upset' 과 같이 말하면 되겠죠.
No matter how much I drink, it never gets old.
아무리 마셔도 질리지 않는 걸.
'No matter how 형용사(부사) +주어+동사' 는 '아무리 ~해도 ~하다'
라는 구조의 표현입니다.
'난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이 안쪄' 라는 문장은
'No matter how much I eat, I don't gain weight'
'아무리 조심하더라도, 실수를 할 수 있어' 라는 문장은
'No matter how careful you are, you can make mistakes'
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it never gets old' 는 해석을 하면 '전혀 올드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늘 새롭다. 즉, '질리지 않는다' 라는 뜻의 표현입니다.
음식이나, 컴퓨터 게임, TV 프로그램과 같이 정말 좋아하는 것에 대해
'이건 정말 질리지가 않아' 와 같이 말할 때
'It never gets old'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I’m worried that you could get addicted to alcohol.
네가 알코올에 중독될까 걱정돼.
'be worried that 주어+동사' 는 '~할 까봐 걱정돼' 라는 표현이고,
'get addicted to sth' 은 '~에 중독되다' 라는 뜻입니다.
'시카고'라는 그룹이 부른 'Hard habit to break' 라는 노래에
이런 가사가 나옵니다.
'I'm addicted to you babe.
난 당신에게 중독됐어요,
You're hard habit to break'
당신은 끊기 어려운 습관이예요'
Thanks for your concern.
걱정해 줘서 고마워.
Let’s go grab some coffee.
커피 마시러 가자.
'concern' 은 '우려, 염려' 라는 뜻이죠.
'Thanks for sth' 은 '~에 대해 고마워' 라는 뜻이니까
'염려해 줘서 고마워' 라는 표현입니다.
'go grab some coffee' 는 '커피 마시러 가자'라고 말할 때
사용할 수 있는데요, 'go grab sth' 이 '~을 간단히 먹다, 마시다'
라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맥주 한잔 마시러 가자' 라고 할 때는
'Let's go grab a beer'
'아이스크림 먹으러 가자'라고 할 때
'Let's go grab some ice cream' 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Let’s go to the place at the shopping mall.
쇼핑몰 있는 데로 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