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wife quit her job to be a stay-at-home mom.
아내가 전업주부가 퇴사를 하고 전업주부가 됐어.
'전업주부'를 'stay-at-home-mom' 이라고 하죠.
to 부정사는 본래 미래에 어떤 행위를 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업주부가 되기 위해서
회사를 그만뒀다' 라고 해석하는 것보다는 '퇴사를 하고 나서
전업주부가 될 것이다' 와 같이 이해를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영어문장을 읽거나 들을 때 한국어가 아닌 영어가
나오는 순서대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She has been struggling with looking after her kids.
그동안 아이들 돌보느라 힘들어했지.
'struggle with sth' 은 '~로 힘들어 하다' 라는 표현인데요,
'나 요즘 돈에 쪼들리고 있어' 라는 문장은
'I'm struggling with money these days'
'우리 어머니가 당뇨로 힘들어하고 계셔' 라는 문장은
'My mother is struggling with diabetes'
'내 아들은 밀린 숙제하느라 힘들어 하고 있어' 라는 문장은
'My son is struggling with catching up on his homework'
과 같이 말하면 됩니다.
'look after sb' 는 해석하면 '누구의 뒤를 봐주다' 즉, '돌봐주다' 라는 뜻이죠.
비슷한 의미로 'take care of sb' 와 같은 표현도 자주 사용됩니다.
I may have to take a part-time job for tuition.
교육비 때문에 아르바이트라도 해야 할지 모르겠어.
'아르바이트를 하다' 라는 표현은 'take a part-time job' 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생활비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해야겠어' 라고 말할 때는
'I should take a pat-time job for living expenses'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That’s why double-income families are common nowadays.
그래서 요즘 맞벌이 가정이 보편화된 거야.
'That's why 주어+동사' 는 '그래서 ~하는 거야' 라는 의미의 표현입니다.
'그래서 내가 여기에 온거야' 라는 문장은
'That's why I came here'
'그래서 내가 택시를 타는 거야' 라는 문장은
'That's why I take a taxi' 와 같이 말할 수있습니다.
'맞벌이 가정'은 'double-income family' 또는 'dual-income family' 라고 하는데요,
마찬가지로 '맞벌이 부부'는 'a double-income couple' 또는 'a dual-income couple'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Thanks for listening.
들어 줘서 고마워.
It feels good to get that off my chest.
털어놓으니 기분 좋다.
'It feels good to 동사원형' 은 '~해서 기분이 좋다' 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을 돕는 것은 기분이 좋아' 라는 문장은
'It feels good to help others'
'집에 오니까 기분이 좋다' 라는 문장은
'It feels good to come back home' 과 같이 표현하면 되겠죠.
'가슴속에 담아둔 것을 털어놓다' 라는 표현을 'get off ones's chest' 라고 하는데요,
'마음속에 있는 걸 털어놔봐' 라는 문장은
'Please get it off your chest' 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Shooting the breeze is the only way we can relieve stress.
수다 떠는 게 유일한 스트레스 해소법이지.
'shoot the breeze' 는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다, 수다를 떨다' 라는 의미의 표현입니다.
예전에 카우보이들이 심심할 때 허공에 대고 총을 쏘면서 시간을 보낸 유래에서 나온
표현이라고 합니다.
'수다 떠느라고 너무 오래 있었네' 라는 문장은
'I stayed too long shooting the breeze'
'커피 마시면서 수다나 떨자' 라는 문장은
'Let's shoot the breeze having some coffee' 와 같이 말하면 되겠죠.
'relieve stress' 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다' 라는 표현입니다.
'난 헬스장에서 운동하면서 스트레스를 풀어' 라는 문장은
'I relieve stress working out at the gym' 과 같이 말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