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d you see the price of these fruits?
여기 과일 가격 봤어?
It’s expensive.
비싸다.
I think they’re out of season.
제철이 아니라서 그래.
'sth is out of season' 은 '제철이 아니다, 비수기이다' 라는 뜻입니다.
반대로 '제철이다' 라고 할 때는 'in season' 이라고 합니다.
'수박은 겨울에는 제철이 아니다' 라는 문장은
'Watermelon is out of season in the winter'
'지금은 딸기가 제철이야' 라는 문장은
'The strawberry is in season' 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We can get them for the best price near our place.
집 근처에서 저렴하게 살 수 있어.
'get sth for the best price' 는 '무엇을 최고의 가격에 사다'
즉, '저렴하게 구입하다' 라는 뜻의 표현입니다.
'어제 가방을 저렴하게 구입했어' 라는 문장은
'I got a bag for the best price yesterday'
'티켓을 어떻게 가장 싼 가격으로 구할 수 있을까?' 라는 문장은
'How can I get a ticket for the best price?' 와 같이 말하면 됩니다.
What do we do with the leftovers at home?
집에 남은 과일은 어떻게 하지?
'What do we do with sth?' 은 '무엇은 어떻게 하죠?'
와 같이 물어볼 때 사용하는 표현인데요,
소풍을 가서 먹고 남은 음식을 처리할 때
'음식물 쓰레기는 어떻게 하죠?' 라고 묻는다면
'What do we do with the food waste?' 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이사를 가려고 짐정리를 하다가
'이 낡은 소파는 어떻게 하지?' 라고 물어볼 때
'What do we do with this old couch?' 와 같이
말하면 되겠죠.
'leftover' 는 '먹다 남은' 이라는 형용사인데요, 끝에 's'를 붙여
'leftovers' 라고 하면 '남은 음식' 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디다.
We can put them in the blender to make a juice.
믹서기에 넣어 주스로 만들면 돼.
to 부정사는 미래에 일어날 행위를 표현한다고 했죠.
따라서, 'put them in the blender, 믹서기에 넣고,
to make a juice, 주스를 만든다' 와 같이 영어가 나오는
순서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조동사 'can' 은 '~`을 할 수 있다' 라는 뜻이 아니라
'~하는 게 좋겠다' 와 같이 가벼운 제안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Let’s get some dumplings.
만두 좀 사자.
I’ll be in the frozen food aisle.
냉동식품 코너에 있을게.
'만두'를 'dumplings' 라고 하죠.
마트에서 ' 무슨 코너에 가 있을게' 라고 말할때는
'I'll be in the 무슨 aisle'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어떤 상품이 있는 코너' 라는 표현은 'section, 또는 aisle' 을 사용하는데요,
예를 들어, '농산물 코너' 는 'produce section'
'유제품 코너' 는 'dairy section' '생선코너' 는 'fish aisle'
'빵 코너' 는 'bread aisle' 과 같이 'section' 이나 'aisle' 을 넣어서
말할 수 있습니다.
section 은 상품이 진열된 공간을, aisle 은 복도의 개념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