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have a craving for something sweet.
뭔가 달달한 게 당기는데.
우리말에 먹고 싶은게 있을 때 '어떤 음식이 당긴다'라고 하죠.
영어에는 'have a craving for sth' 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갑자기 피자가 당기는데' 라고 할 때는
'All of a sudden, I have a craving for pizza'
'매운게 너무 당기는데' 라고 한다면
'I have a craving for something spicy' 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형용사가 someone, smomething, anything 과 같은 형태와
함께 쓰일 경우 명사 뒤에 온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대단한 사람' 은 'great man' 또는 'someone great' 과
같이 표현할 수 있겠죠.
You have a sweet tooth.
단것을 좋아하는구나.
You want some candy?
사탕 먹을래?
'have a sweet tooth' 는 '단 것을 좋아하다' 라는 표현입니다.
'너 단 거 너무 좋아해. 음식 조심해' 라는 문장은
'You have a sweet tooth. Be careful of what you eat'
와 같이 말하면 됩니다.
No. I’ll have a cheese burger for a snack.
아니. 간식으로 치즈 버거 먹을래.
'음식을 먹다' 라는 동사로 'have'를 자주 사용하는데요,
'have' 는 음료, 음식, 식사 등에 포괄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eat'은 씹어먹는 음식을 먹을 때,
특히, 먹는 행위에 초점을 둘 경우에 쓰입니다.
예를 들어, '너 뭐 먹고 있니?' 라는 문장은
'What are you eating?' 뭘 씹어먹고 있으니까요.
'점심으로 뭐 먹을까?' 라고 물을 때는
'What do you want to have for lunch?' 와 같이 말하죠.
먹는 행위보다는 메뉴에 초점이 맞춰졌으니까요.
'나 떡볶이가 먹고 싶어' 라고 말할 때는 'have' 보다는
'eat' 이 좀 더 어울리겠죠?
상황에 따라 동사를 다르게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That won’t be easy on your stomach.
위장에 부담이 될 텐데.
'위장에 부담이 없다' 는 'easy on one's stomach'
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easy' 를 영영사전에서 찾아보면
'comfortable or relaxed' 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편안하고 부담이 없다는 뜻이죠. 반대로 '부담이 된다'
고 할 때는 'easy' 대신 'heavy'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야식은 위에 부담을 줄 수 있어' 라는 문장은
'Late night snacks will be heavy on your stomach'
이라고 말하면 되겠죠.
Sometimes I love getting a taste of junk food.
가끔은 인스턴트식품 맛보는 게 좋아.
'무엇을 맛보다' 라고 할 때 'get a taste of sth'
'무엇의 맛을 알다, 재미를 느끼다' 라고 할 때는 'get a taste for sth'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시골의 민박집을 예약하면서 엄마가 어린 자녀에게
'이번에 시골이라는 걸 맛볼 수 있을거야' 라고 말한다면
'You can get a taste of countryside this time'
'드디어 독서의 재미를 맛보고 있구나' 라는 문장은
'You are finally getting a taste for reading books'
와 같이 말하면 되겠죠.
I see. You can microwave it over there.
그렇구나. 저기 전자레인지에 데워.
'microwave' 가 '전자레인지로 데우다'라는 동사로 쓰였죠.
영어에서는 명사가 동사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water' 는 '물' 이지만 '물을 주다' 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미국에서는 택배를 보낸다고 할 때, Fedex 라는 택배회사를
자주 사용하니까 급기야 동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어제 택배 보냈어' 라는 말은 'I Fedexed it yesterday'
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