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e put on 3 kilograms in the past two months.
지난 두 달간 체중이 3kg 늘었어.
'체중이 늘다, 살이 찌다' 라고 말할 때 'put on weight' 또는 'gain weight'
와 같이 말합니다. 구체적인 수치를 넣어서 'put on 3 kilograms' 또는
'put on 3 pounds'와 같이 말할 수도 있습니다.
'갑자기 체중이 좀 늘었어' 라고 말할 때는
'Suddenly I've put on some weight' 라고 하면 되겠죠.
Are you kidding?
농담이지?
How did that happen?
어쩌다 그렇게 됐어?
'Are you kidding?' 이라는 표현은 '농담이지?'
'장난치는 거지?' 라는 뜻입니다.
'How did that happen?' 은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지?' 라는 문장이죠.
어이없는 일을 당했을 때, 또는 안좋은 일을 당한 사람에게
'어쩌다 그렇게 됐어?' 와 위로의 말을 할 때 사용합니다.
'인턴'이라는 영화에서 주인공인 '앤해서웨이'가
'Oh, my God. How did that happen?' 이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I’ve picked up a habit of snacking late at night.
밤늦게 군것질하는 습관이 생겼거든.
'pick up a habit of 동사ing' 는 '~하는 습관이 생기다' 라는 표현인데요,
예를들어,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습관이 생겼어' 라고 한다면
'I've picked up a habit of getting up early' 와 같이 말하면 되겠죠.
'간식을 먹다' 라는 뜻으로 'snack'을 동사로 사용했죠.
'밤늦게' 라는 표현은 'late at night' 이라고 합니다.
It’ll harm your health. You should get back to normal.
건강을 해치잖아. 원래대로 돌아가야 돼.
'harm one's health' 는 '건강에 해롭다, 건강을 해치다' 라는 표현입니다.
'과음은 건강을 해칠 수 있어' 라고 말할 때는
'Drinking too much can harm your health' 라고 하면 되겠죠.
'get back to normal' 는 '정상으로 돌아가다, 원래대로 돌아가다' 라는 뜻입니다.
일주일동안 긴 휴가를 다녀오고 난 후에
'이제 일상으로 돌아갈 때야' 라고 말한다면
'It's time to get back to normal' 과 같이 말하면 됩니다.
You have a point. I’ll try to kick the bad habit.
맞는 말이야. 나쁜 습관을 고칠 거야.
상대방이 한 말에 대해 '네 말도 맞아, 일리가 있어'
와 같이 긍정적인 반응을 할 때 'You have a point' 라고 합니다.
'습관을 고치다' 라는 표현은 'kick the habit' 또는 'break the habit'
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나쁜 습관을 고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라고 말할 때는
'Please tell me how to break a bad habit' 이라고 하면 되겠죠.
Take into account the ingredients when you eat.
먹을 때 식재료도 따져 봐야 해.
'take into account sth'은 '~을 고려하다, 감안하다' 라는 뜻의 표현입니다.
구직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회사와 마찬가지로 급여도 중요하죠.
'급여를 얼마나 받는지 고려해야 돼' 라는 문장은
'You have to take into account how much you get paid' 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