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용접사들의 전자파 피해
- 게스트 :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환경평가 팀장 김원
○ 연구 측정방법과 결과
- 전자파 인체보호기준_2016 미래창조과학부 고시
○ 다른 나라 연구결과 사례
- 2007년 WHO 극저주파 전자파 노출 소아백혈병과 상관관계 연구
○ 최근 활선작업 전자파노출노동자 산업재해 인정사례(2018년3월)
- 2015년 급성골수성백혈병(4개월후 사망, 26년간 배전 정비작업)
- 2017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결과:37명 중 24명 100~300uT(마이크로네슬라), 변전소노동자 0.43, 용접노동자 0.95, 반도체노동자 0.78, LCD노동자 0.51
○ 전자파 이외의 위험(용접흄, 포름알데히드, 6강크롬, 발암물질 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