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총 2,077책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역사 기록으로 국보 151호이자,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계기록문화유산《조선왕조실록》을 복원한 대하역사만화《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기반으로 박시백 화백과 종횡무진 인문학자 남경태, 건국대 사학과 신병주 교수, 휴머니스트 대표 김학원이 유쾌 통쾌 상쾌하게 들려주는 조선사 전문 역사 토크 방송입니다.... more
FAQs about [H]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How many episodes does [H]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288 episodes available.
September 25, 2019백욱인의 <번안 사회> 7. 과학:권력과 손잡은 과학기술19세기 일본의 과학기술은 국가사업으로서 '부국강병'이라는 군사 정책과 '식산흥업'이라는 산업 정책에 따라 결정되었다. 과학기술은 그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차원에서만 진흥되었다. 거기에 과학기술의 자율성이나 시민 참여의 공간은 존재하지 않았다....more37minPlay
September 21, 2019《이욱연의 중국수업》 17. 중국에서 멀어져가는 타이완 청년들2011년 11월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갤럭시 노트' 신제품 발표회를 할 때의 일입니다. 당시 삼성전자 사장이 직접 무대에 나서서 신제품을 발표했습니다. 발표회가 끝난 뒤 중국에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거센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문제는 무대 배경에 그려진 지도였습니다....more30minPlay
September 18, 2019백욱인의 <번안 사회> 6. 학문:식민지 시대의 앎과 힘근대 일본 학문의 중심은 도쿄제국대학이었다. 이 대학의 모태는 막부 시대에 통역관과 번역관을 양성해 양서(洋書)를 번역하고 서양 정보를 수집하던 요가쿠쇼(洋學所)다. 미국의 페리가 내항한 1853년 이래 번역 작업이 늘자 막부 정부는 1855년에 요가쿠쇼를 만들었다....more31minPlay
September 14, 2019《이욱연의 중국수업》 16. 농업과 농민의 나라에서 영원히 차별받는 농민중국은 농민의 나라입니다. 농촌인구가 많아서 그렇기도 하지만 여기에는 더 깊은 뜻이 있습니다. 중국 문명이 바로 농업 문명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more36minPlay
September 11, 2019백욱인의 <번안 사회> 5. 교육:'교육칙어'에서 '국민교육헌장'으로1890년에 천왕의 이름으로 발표된 교육칙어는 충효로 이루어진 일본식 근대 교육의 일그러진 봉건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일본식 근대 교육은 1968년에 우리나라에서 국민교육헌장으로 번안되어 되살아난다....more36minPlay
September 07, 2019《이욱연의 중국수업》 15. 세계의 큰손이 된 중국 중년 여성들2013년 4월 15일, 세계 금시장에서 금값이 하루에 20퍼센트나 폭락하자 중국에서 금을 대량으로 사들이는 일이 벌어집니다. 구매자는 중국 정부도 아니고 기관 투자자도 아니었습니다. 바로 '다마(大媽)'였습니다....more30minPlay
September 04, 2019백욱인의 <번안 사회> 4. 성경과 찬송가 & 기독교와 교회번역은 원문에 대한 해석이자 세상을 보는 창이다. 1751년에 루터가 중세의 깊은 어둠을 뚫고 교회 권력에 아흔다섯 가지 의문을 제기하며 반기를 들었다. 루터는 그리스어 신약성경과 히브리어 구약성경을 저본으로 신약 독일어판과 신구약 완역판을 출판했다....more46minPlay
August 31, 2019《이욱연의 중국수업》 14. 중국 남녀는 평등할까?1992년 무렵 중국에 간 한국 남자들은 중국에는 한국보다 세고 독한 세 가지가 있다는 농담을 하곤 했습니다. 이른바 '중국 삼독(三毒)론'입니다. 중국 술과 담배, 여성을 두고 한 말입니다....more32minPlay
August 28, 2019백욱인의 <번안 사회> 3. 근대어:한국 근대어에 남은 지배의 흔적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서양에서 출현한 근대사상을 번역하기 위한 개념어 만들기에 박차를 가했다. 메이지유신 초기의 번역과 일본의 근대화 과정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서양 사회를 번안하는 일본 근대화의 핵심에는 서양 문헌의 번역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more42minPlay
August 24, 2019《이욱연의 중국수업》 13. 청년들의 초상, 트럼프 지지에서 창업 열풍까지개혁개방이 시작되고, 각 가정에서 오직 한 자녀만 낳을 수 있는 한 자녀 정책이 시행된 1980년 이후 출생한 사람들을 이른바 '포스트 80세대', 중국어로 '바링허우 세대'라고 부릅니다. 중국의 미래를 짊어진 이들 중국 청년 세대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more29minPlay
FAQs about [H]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How many episodes does [H]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288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