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I talk to you for a second?
잠깐 얘기 좀 할 수 있어?
누군가에게 대화를 하자고 말을 걸 때 사용하는 표현이죠.
비슷한 표현으로, 'Do you have a minute?' 또는 'Got a minute?'
'Do you have a second?' 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Sure. You have something up your sleeve?
물론. 뭐 특별한 거라도 있어?
우리말에 '무슨 꿍꿍이가 있다' 라는 표현이 있죠.
영어로는 'have something up one's sleeve' 라고 하는데요,
'옷 소매에 뭔가를 감추고 있다' 라는 의미입니다.
'너한테 꿍꿍이가 있다는 걸 알고 있었어' 라는 문장은
'I knew you had something up your sleeve' 와 같이 말하면 되겠죠.
I’ve got two tickets to a concert. Are you in?
콘서트 티켓이 두 장 있거든 . 같이 갈래?
우리말에 ' 무슨행 티켓' 이라는 표현이 있죠.
영어로는 'a ticket to 목적지' 와 같은 형태로 표현합니다.
예를들어, '런던행 티켓' 은 'a ticket to London', '결승행 티켓' 은 'a ticket to the final',
'콘서트 티켓' 은 'a ticket to the concert'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같이 가자고 제안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 몇 가지 있는데요,
'Would you like to join me?' 'Want to join us?' 'Want to come along?'
그리고 본문과 같이 'Are you in?' 과 같이 다양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Are they R seats? I want to sit in the front.
R석이야? 앞쪽에 앉고 싶은데.
'sit in the front' 는 '앞자리에 앉다' 라는 표현인데요, '중간에 앉다' 는
'sit in the middle', '뒷자리에 앉다'는 'sit in the back'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Hey, don’t look a gift horse in the mouth.
이봐. 선물에 트집 잡는 거 아니야.
중세시대에는 말을 교환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요, 선물받은 말의 나이나 건강상태
는 앞니를 보고 확인했다고 합니다. 영어속담에 '선물로 받은 말의 입안을 들여다 보지 말라'
는 문장이 있습니다. '남의 선물이나 호의에 대해 트집을 잡지 마라' 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Don't look a gift horse in the mouth' '남의 호의를 트집잡지 마' 라는 표현입니다.
That’s true. Beggars can’t be choosers.
그건 그래. 찬 밥 더운 밥 가리면 안 되지.
'beggars can’t be choosers' 는 '얻어먹는 거지가 이것 저것 가릴 수는 없다'라는 뜻의
미국 속담이죠. 우리말로는 '찬 밥 더운 밥 가릴 처지가 아니다' 라는 뜻으로 자신에게
선택권이 없이 주어지는 대로 받아들여야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