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북티셰는 책으로 빵을 굽고 행간에 일기를 쓰는 남자입니다. 책 소개글과 책의 일부를 읽습니다. 매일 책 여러 권을 시간에 맞춰 소개합니다. 긴 이야기보다 짧은 책읽기로 마음의 위안을 받고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책 방송입니다. 에세이, 소설, 인문, 자기계발... 장르에 상관없이 당신을 위한 책을 준비하겠습니다. 그럼 글로 연극배우의 목소리로 책을 만날 수 ... more
FAQs about 책 소개 팟 북티셰:How many episodes does 책 소개 팟 북티셰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73 episodes available.
August 24, 201728. (저자 특강) 데이트 폭력은 왜 생길까? 이현재 번역 악셀 호네트 <인정투쟁>"인정 요구에 대한 무시의 경험에 동반하는 모든 부정적 감정 반응은, 그 자체 속에 이미 그 관련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에게 가해진 불의를 인지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정치적 저항의 동기를 갖게 하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제35회 목요철학향연은 서울시립대학교 이현재 교수(도시인문학연구소)가 연사로 나서 '인정의 욕망과 인정의 윤리-헤겔, 호네트, 버틀러'를 주제로 진행됐다. - 주관 : 이화여자대학교 철학연구소...more1h 8minPlay
August 23, 201727. 작가들이 '작가'라고 부르는 남자의 세계 여행기, <그때 그곳에서>제임스 설터의 국내 첫 산문“작가의 작가”가 쓴 소설 같은 여행기작가는 낯설고 이질적인 경험에서 글감을 얻고, 그래서 많은 작가가 디아스포라를 자처하며 여행자에 이방인으로 나섰다. 제임스 설터도 그랬다. 제2차 세계대전 때 전투기를 몰았던 굵고 선한 기억이 각인된 이래 미국, 유럽, 아시아 할 것 없이 몇 달, 길게는 몇 년씩 살며 공허함을 채웠고 그 경험들을 동력 삼아 소설을 썼다....more31minPlay
August 22, 2017북티셰 책선물) 02. 박선미 선생님 반 아이들이 쓴 시집 <저 풀도 춥겠다> 열 권을 드립니다. 청취평을 댓글로 달아주세요!! 열 분 선정합니다~~^^ 발표일은 8/30일입니다.아이들은, 학교 오는 길에 만난 달팽이를 따라 느릿느릿 걸어도 보고, 가을에 시멘트를 뚫고 나온 새싹이 겨울을 견뎌야 하는 걸 걱정하고, 텃밭 채소들이 비바람에 쓰러질까 봐 애도 태웁니다. 쉴 틈 없이 둥지 짓는 새를 도와주고 싶고, 애써 잡은 실잠자리가 벌벌 떠는 걸 보고 ‘생명’임을 깨닫고 놓아 주기도 합니다. 자기 마음을 미루어 뭇 생명들을 가엾이 여기는 아이들의 선한 마...more23minPlay
August 22, 2017저자 특강) 04. 황농문 교수의 몰입, 그 두 번째 이야기 <인생의 완성도를 높이는 자기 혁명>무언가에 몰입한다는 것은 의식이 산만해지려는 경향에 맞서 집중된 상태로 가는 것이다. 즉, 의식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경향에 맞서 이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다. 칙센트미하이는 “몰입도가 증가하면 의식의 엔트로피는 감소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은 결코 저절로 일어나지 않는다. 생각을 하나의 문제에 집중한다는 것은 흩어지는 담배 연기를 좁은 공간에 모으는 것과 비슷하다. 흩어지는 담배 연기를 좁은 공간에 모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데 이것을 엔트로피 장벽이라고 할 수 있다. 몰입이 어려운 이유는......more51minPlay
August 22, 201720. 나를 100년 동안의 한국으로 데려다 주는, 황석영 자서전 <수인 2>만주 장춘에서 출생한 그는 평양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고 어머니 등에 업혀 월남, 어린 시절 한국전쟁의 참화를 겪고 4·19의 소용돌이에서 소중한 친구를 잃은 뒤 젊은 날을 방황으로 보내다 해병대에 입대,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작가의 길로 들어선 그는 유신독재의 어둠에 맞서 동료들과 함께 저항하다 5·18 광주항쟁을 맞았고, 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데 앞장섰다. 그리고 1989년, 분단된 한반도의 금기를 깨고 방북을 결행해 공고한 분단체제에 커다란 충격을 던진다. 사 년의 망명을 거쳐 귀국 후 수감, 그리고......more17minPlay
August 21, 2017저자 특강) 02. 썰전 유시민들려주는 역사 이야기, <나의 한국 현대사>광복 14년, 정부 수립 11년, 한국전쟁의 포화가 멈춘 지 겨우 6년이 지난 1959년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이래 무려 18년간 같은 대통령 밑에서 자라야 했던 당대인들에게 박정희 대통령만큼 상반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인물도 드물 것이다. 1979년 10·26사건으로 그가 세상을 달리한 지 35년이 흐름 지금, 그의 딸이 다시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는 현실에서 ‘59년 돼지띠’들의 생각이 모두 같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상당한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는 만큼 유시민은 같은 시대를 열심히 달려온 동시대인들을 ‘벗’으로 호명한다....more1h 49minPlay
August 21, 201720. 한국 현대사를 공부하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 황석영 자서전 <수인 1>만주 장춘에서 출생한 그는 평양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고 어머니 등에 업혀 월남, 어린 시절 한국전쟁의 참화를 겪고 4·19의 소용돌이에서 소중한 친구를 잃은 뒤 젊은 날을 방황으로 보내다 해병대에 입대,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작가의 길로 들어선 그는 유신독재의 어둠에 맞서 동료들과 함께 저항하다 5·18 광주항쟁을 맞았고, 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데 앞장섰다. 그리고 1989년, 분단된 한반도의 금기를 깨고 방북을 결행해 공고한 분단체제에 커다란 충격을 던진다. 사 년의 망명을 거쳐 귀국 후 수감, 그리고 ......more24minPlay
August 20, 2017저자 특강) 01-2. 일단 '거울'이 있어야 나를 본다, 심리학자 김태형 특강 <싸우는 심리학>자본주의를 읽는 키워드, 에리히 프롬 병든 사회를 변혁하고 ‘인간의 시대’를 열다. “세상 사람들이 요즘처럼 한국인의 심리를 궁금해했던 적은 일찍이 없었던 것 같다. 한국사회를 연이어 강타하는 충격적인 사건 사고들, 그리고 유신독재로의 회귀라는 역사적 반동을 경험하면서 사람들은 이렇게 절규하고 있다. ‘한국인의 정신이 어떻게 된 것이 아닌가?’ 심리학이 한국인의 심리를 해명하는 것은 절박한 대중적 요구일 뿐만 아니라 심리학 본연의 의무이기도 하다. 심리학이 지금 여기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를 설명할 수 없다면......more45minPlay
August 20, 2017저자 특강) 01-1. 일단 '거울'이 있어야 나를 본다, 심리학자 김태형 특강 <싸우는 심리학>자본주의를 읽는 키워드, 에리히 프롬 병든 사회를 변혁하고 ‘인간의 시대’를 열다. “세상 사람들이 요즘처럼 한국인의 심리를 궁금해했던 적은 일찍이 없었던 것 같다. 한국사회를 연이어 강타하는 충격적인 사건 사고들, 그리고 유신독재로의 회귀라는 역사적 반동을 경험하면서 사람들은 이렇게 절규하고 있다. ‘한국인의 정신이 어떻게 된 것이 아닌가?’ 심리학이 한국인의 심리를 해명하는 것은 절박한 대중적 요구일 뿐만 아니라 심리학 본연의 의무이기도 하다. 심리학이 지금 여기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를 설명할 수 없다면......more53minPlay
August 20, 2017가을 맞이 특집) 소설 한 편 전체 듣기 04. 엄마의 마음 그리고... 강경애 소설 <마약>"나는 등록 하였수!"보득 아버지는 벌떡 일어나며 외쳤다."무슨 딴 수작야 계집을 죽인 놈이. 가자 너 같은 놈은 법이 용서를 못해."순사는 달려들어 보득 아버지의 멱살을 쥐어 내몰았다."네? 계집을 계집을……"보득 아버지는 정신이 버쩍 들어 순사를 쳐다보았으나, 나는 듯이 달려드는 매손에 머리를 푹 숙여 버렸다. 불을 움켜 쥔 그는 기막히게 순사의 입술을 바라볼 때, 불이 붙는 듯 우는 보득이가 눈에 콱 부딪친다."엄마 엄마."어디선가 아내가 꼭 뛰어들 듯한 저 음성......more34minPlay
FAQs about 책 소개 팟 북티셰:How many episodes does 책 소개 팟 북티셰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73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