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 정병주 특전사령관, 김진기 육군 헌병감, 하소곤 육군 작전참모부장, 김오랑 중령, 정선엽 병장… 1979년 전두환 신군부의 12·12 군사반란에 항명한 군인들입니다. 12·12로 민주주의가 짓밟히고 군사독재가 독해졌을지언정 이들 덕에 "적에겐 사자처럼, 백성에겐 양처럼"이라는 군인 정신은 살아남았습니다. 그로부터 45년이 흘렀습니다.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여인형 방첩사령관, 곽종근 특전사령관, 이진우 수방사령관, 그리고 그 외 여러 장군들 중 단 한 명도 12·3 비상계엄 명령에 항명하지 않았습니다. 이상현 1공수여단장, 김현태 707단장은 언론의 카메라 앞에서 눈물을 보였습니다. 부당한 명령을 따라 부하들에게 못할 짓을 시킨 지휘관으로서 흘린 눈물입니다. 계엄에 성공해 혁명이 됐어도 그들은 울었을까요? 계엄법으로 이 나라를 통치하며 의로운 국민들을 처단하고 있었을 겁니다. 울음은 국민들 몫이 됐을 겁니다. 계엄이 실패한 뒤 흘리는 군인의 눈물은 악어의 눈물과 같습니다. 항명하지 못한, 비겁한 눈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