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April 27, 2023대만에서 일이 터지면, 경제적으로 흔들리는 건 한국이다오늘은 대만 사태에 대해서 짚어봅니다. 국제정치나 군사적으로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죠. 그런데 실제로 대만 일대에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경제적으로 우리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지는 많은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답부터 말씀드리자면,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상상하지 못했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more10minPlay
April 25, 2023남성은 60분, 여성은 40분 넘기지 말라는 통근시간의 비밀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는 대도시 노동자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퇴근 시간을 줄이는 정책이 논의돼야 한다는 아주대 의대 연구 결과가 실렸습니다....more7minPlay
April 21, 2023위기에 빠진 프랑스 와인최근 프랑스 전역에 팔지 못해 쌓아 둔 와인이 무려 300만 헥토리터(HL)나 된다고 합니다. 1헥토리터는 100리터니까, 와인 4억 병 분량입니다. 와인이 왜 이렇게 안 팔리고 많이 쌓였을까요?...more7minPlay
April 19, 20231천 분의 1초가 그들의 운명을 갈랐다숱하게 나온 간발의 차 승부 가운데 압권으로 불리는 명승부가 바로 1993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세계육상선수권 여자 100m였습니다. 여기서 단 1천 분의 1초 차이로 금메달과 은메달이 가려졌습니다....more9minPlay
April 17, 2023마크롱 외교참사, 한국엔 예방주사?대통령이 중국에 다녀오면서 자주 외교, 대미-대중 균형노선을 표방하는 발언을 합니다. 미국에서 격한 반응이 나오고 우방국들도 지금이 그런 소리 할 때냐고 반발하자 정부와 외교부는 주워 담느라 전전긍긍합니다. 아, 우리나라가 아니고 프랑스 이야기입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중국을 다녀오면서 우리가 미국의 졸개냐, 대만 갖고 미국 중국 싸우는 데에 우리가 왜 엮여야 되냐 등등의 발언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more16minPlay
April 13, 2023"후쿠시마서 기준치 14배 우럭"…방사선 피폭량은 얼마나?후쿠시마에서 방사능 기준치 14배가 넘는 우럭이 잡혔는지, 또 기준치를 넘는 수산물이 자주 잡히는지, 나아가 이런 수산물들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지금까지의 방사능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확인했습니다. SBS 팩트체크 '사실은' 팀이 검증했습니다....more11minPlay
April 10, 2023'이 동네 지소연 언니'나 '저 동네 연경쌤'이 많아져야 해! - 여성 스포츠에서 롤모델의 역할과 중요성지난 3일, 뉴욕타임스 "오피니언" 란에 《왜 여성 스포츠 선수들은 위대한 업적을 남기고도 마땅한 대우를 받지 못했는가》를 고찰한 칼럼이 실렸습니다. 칼럼을 쓴 케이트 페이건은 남성 스포츠에 비해 여성 스포츠가 인기를 끌지 못하는 원인으로 "이야기"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꼽았습니다....more10minPlay
April 06, 2023먼저 찾아온 봄꽃, 지독해진 산불…데이터로 살펴보니올해 봄꽃은 특히 빨리 폈죠? 꽃이 일찍 피면 꽃구경 하는 사람들은 좋겠지만 생태계 차원에서 보면 좋은 일이 아닙니다. 심지어 이번에 산불이 몰아서 난 이유도 봄꽃이 지나치게 빨리 핀 이유와 비슷합니다....more11minPlay
April 04, 2023'8자 비행' 했던 중국 풍선…미국의 '이것' 노렸다지난 2월, 푸른 하늘 위 달처럼 둥글게 뜬 하얀 물체의 출현에 미국 사회가 발칵 뒤집혔습니다. 이 풍선은 중국이 띄워보낸 것으로 드러났고, 군사정찰용인지 기상관측용인지를 놓고 미중 양국이 설전을 벌였습니다. 미군 당국은 풍선을 격추 후 잔해를 분석했고, 정체가 궁금했던 고(高)고도 풍선의 비밀이 드러났습니다....more5minPlay
April 03, 2023검찰과의 전쟁으로 지지층 결집해 대선 나가려는...트럼프제목을 듣고 ‘우리나라 정치 얘기인가?’하는 생각이 들었다면 그건 당신의 기분 탓만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소개하려는 얘기는 분명 미국 정치 이야기인데, 우리나라의 상황과 겹치거나 비교되어 보이는 부분이 꽤 있을 겁니다. 이 이야기의 장본인은 미국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입니다....more11min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