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gn up to save your podcasts
Or
<한글 띄어쓰기>
한글은 세종대왕이 1443년에 창제한 이후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세종대왕이 처음 한글을 만들었을 때만 하더라도 한글에는 띄어쓰기가 없었다.
한글의 띄어쓰기를 처음 시작한 것은 한글이 창제된 지 400년이 지난후였으며,
한국사람이 아닌 영국사람이 한국어 입문교재를 만들었을 때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한국 최초의 신문인 독립신문에서 띄어쓰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띄어쓰기가 보편화되었다.
<韩语中的띄어쓰기——分写法的由来>
韩文自从1443年世宗大王创制以后就一直沿用至今。
但是在世宗大王最初创制韩文的时候,韩文其实是没有分写法的。
韩文中的分写是从韩文被创制后的400年以后才开始的,
并且不是由韩国人开始的,而是由编写韩语入门教材的英国人开始使用分写的。
之后,由于韩国最初的报纸‘独立报’上开始使用分写,这才开始了韩文分写法的普及。
本期必背单词
띄어쓰기: 글을 쓸 때, 어문규범에 따라 어떤 말을 앞말과 띄어 쓰는 일. 分写法, 隔写法
<한글 띄어쓰기>
한글은 세종대왕이 1443년에 창제한 이후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세종대왕이 처음 한글을 만들었을 때만 하더라도 한글에는 띄어쓰기가 없었다.
한글의 띄어쓰기를 처음 시작한 것은 한글이 창제된 지 400년이 지난후였으며,
한국사람이 아닌 영국사람이 한국어 입문교재를 만들었을 때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한국 최초의 신문인 독립신문에서 띄어쓰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띄어쓰기가 보편화되었다.
<韩语中的띄어쓰기——分写法的由来>
韩文自从1443年世宗大王创制以后就一直沿用至今。
但是在世宗大王最初创制韩文的时候,韩文其实是没有分写法的。
韩文中的分写是从韩文被创制后的400年以后才开始的,
并且不是由韩国人开始的,而是由编写韩语入门教材的英国人开始使用分写的。
之后,由于韩国最初的报纸‘独立报’上开始使用分写,这才开始了韩文分写法的普及。
本期必背单词
띄어쓰기: 글을 쓸 때, 어문규범에 따라 어떤 말을 앞말과 띄어 쓰는 일. 分写法, 隔写法
553 Listeners
430 Listeners
824 Listeners
5 Listeners
0 Listeners
1 Listeners
0 Listeners
0 Listeners
476 Listeners
1 Listeners
28 Listeners
3 Listeners
263 Listeners
236 Listeners
0 Liste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