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February 16, 2022[웹 3.0 특집] 웹 3.0 세상과 '다오(DAO)', NFT라 가능한 'IP의 오픈소스화'에 대하여 (f. 헤시드 김균태 파트너)기계와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체하면 사람들은 무엇을 할까요? 가상 세계에서 즐기고 어울릴 것입니다. 하지만 가상은 사상누각입니다. 이 사상누각을 현실의 사회, 경제, 문화처럼 구현해주는 것이 웹 3.0입니다. 세계적 블록체인 투자사인 해시드의 김균태 파트너와 함께 블록체인, 암호화폐, 디파이, NFT, 다오 등이 어떻게 웹 3.0 세상을 구성하게 되는지 알아봅니다....more1h 14minPlay
February 09, 2022[도그냥 2탄] 코딩 몰라도 IT회사 취업하는 4가지 팁대부분의 벤처와 스타트업을 흔히 IT 회사로 분류되는데 이 가운데 8할은 이커머스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합니다. 문과적인 기획 역량을 요구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지그재그의 이미준 PO는 “코딩 몰라도 IT 회사에 취업할 수 있다”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 이 PO로부터 문과 출신이 IT 회사에 들어가기 위해 준비해야 할 4가지를 들어봅니다....more18minPlay
February 09, 2022[도그냥 1탄] 찐 문과생들이 IT회사 가면 하는 일코딩을 못 하는 ‘찐’ 문과생도 ‘네카라쿠배당토직야’ 같은 IT 회사에 취업할 수 있을까요? 물론 가능합니다. 오히려 최근 공대생 위주로 뽑는 대기업보다 문과 전공자들을 더 필요로 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문과생이 IT 벤처나 스타트업에 들어가면 무슨 일을 할까요? 바로 PM, PO, AM, CM 등의 직군인데요. 이게 어떤 일인지 최근 카카오스타일에 인수된 지그재그의 PO 이미준님에게 들어봅니다. 미준님은 최근 '코딩 몰라도 됩니다’라는 책을 출간하기도 했습니다....more23minPlay
February 07, 2022[딥서치 2탄] 이 회사가 '나만의 증권사 리서치센터'를 만든 비결 (feat.김재윤 대표)뉴스, 공시, 재무, 보고서 등 기업에 대해 긁을 수 있는 모든 정보를 긁어 몇 초 만에 가치 있는 정보로 바꿔주는 회사 이야기입니다. 마치 증권사 리서치센터를 내 손안에 넣어주는 서비스인 셈인데요. 기업 검색엔진 딥서치 이야기입니다. 이 회사가 어떻게 AI를 활용하는지 김재윤 대표로부터 들어봅니다....more26minPlay
February 07, 2022[딥서치 1탄] 7년간 전부 재택! 순익 10%는 'N빵'하며 상장까지 준비하는 회사 (feat.김재윤 대표)이 회사 이야기 한번 들어보시죠. 7년간 자율근무만 해왔습니다. 제주도에서 1일1서핑하며 근무하는 직원도 있죠. 그리고 당기순이익의 10%는 ‘N빵’입니다. 전 직원이 모두 회사 지분을 가지고 있고요. 바로 기업정보 검색엔진 딥서치가 일하는 방식입니다. 김재윤 대표는 “30명 회사가 10만 명 회사와 경쟁하려면 일하는 방식이 달라야 한다”고 말하는데요. 자율근무는 근무의 한 형태가 아니라 회사의 철학이라고 강조합니다....more25minPlay
January 27, 2022[Full ver.] 주식 애널이던 내가 웹 3.0에 꽂힌 이유 (f. 이효석 업라이즈 이사)최근 구글에서는 임원회의 때마다 비상이 걸린다고 합니다. 직원들이 빠져나가서요. 어디로 가냐고요? 크립토(암호자산)와 웹 3.0 스타트업으로 가는 것이죠. 지금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주목 받는 화두가 웹 3.0입니다. 웹 3.0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술도 알아야겠지만, 무엇보다 웹 2.0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웹 3.0의 철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효석 업라이즈 이사(전 SK증권 투자전략팀장)로부터 웹 3.0이 추구하는 정신을 들어봅니다....more42minPlay
January 26, 2022[Full ver.] 온라인 수업은 왜이래? 카톡처럼 만든 자퇴생대학에서 온라인 수업할 때, 혹은 기업에서 온라인 교육할 때 무척 답답하시죠? 소통이 아니라 일방적인 교육이 되기 일쑤입니다. 그래서 카이스트 학생들이 카톡처럼 온라인 교육을 바꿨는데 4년 만에 25개국에서 5천여 개 대학과 기업이 사용하는 세계적인 서비스가 됐습니다. 카톡, 인스타그램을 온라인 교육에 집어 넣어버린 것이죠. ‘클라썸’의 성공비결을 들어보시죠....more50minPlay
January 25, 2022[Full ver.] 현실이 아니라 디지털에서 탄생하는 명품 NFT (f. 박상욱 플라브 대표)버버리, 루이비통 등 명품들이 잇달아 자사 제품을 NFT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정품임을 인증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더 중요하게는 MZ세대 커뮤니티를 만들기 위해서죠. NFT가 마치 명품의 멤버십과 같은 역할입니다. 이젠 현실이 아니라 디지털에서 탄생하고 디지털에서 존재하는 명품 소비재가 생길지도 모릅니다. 아바타가 신고 입고 사용할 브랜드 말이죠. NFT를 출시하고 있는 루이비통, 구찌가 현실의 명품이 디지털로 진출하는 버전이라면, 태생부터 디지털인 아바타용의 새로운 명품 브랜드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죠....more1h 2minPlay
January 24, 2022[메타버스 연구 #12] 메타버스는 새로운 오프라인이다 (feat. 진호 롯데홈쇼핑 부문장)“메타버스는 온라인의 진화가 아니라 새로운 오프라인이다.” 쿠팡과 같은 온라인 쇼핑은 목적형입니다. 무엇을 살지 정하고 들어가죠. 반면 메타버스에서의 쇼핑은 발견형입니다. 마치 백화점에 간 것처럼 물건 구경, 사람 구경 실컷 하면서 마음에 드는 것을 발견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죠. 그래서 진호 롯데홈쇼핑 디지털부문장은 “메타버스는 오프라인 경험이 제공돼야 하는 공간”이라며 “오프라인의 몰락이 아니라 오프라인에 새로운 기회”라고 말합니다....more15minPlay
January 24, 2022[메타버스 연구 #11] 커머스는 메타버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feat. 진호 롯데홈쇼핑 부문장)유통회사 가운데 메타버스를 가장 잘 활용하고 있고 성과를 내고 있는 회사가 바로 롯데홈쇼핑입니다. 일찌감치 VR과 AR을 결합해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했고, 디지털 휴먼 '루시'도 개발해 투입했죠. 하지만 롯데홈쇼핑은 메타버스가 아직 노키아와 블랙베리 수준이라고 합니다. 강력한 플랫폼이나 디바이스가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이죠. 롯데홈쇼핑이 메타버스와 NFT를 활용해 어떤 실험을 하려는지 진호 롯데홈쇼핑 디지털부문장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more15min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