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는 1000년을 버틴 신라 왕국의 서울이었습니다. 실로 장구한 세월이었습니다. 전성기 때는 무려 18만호에 이르는 사람들이 경주에 살고 있었으며 35채의 ‘금입택’, 즉 황금이 드나드는 저택이 있었다고 합니다. 880년 헌강왕 때는 “서울 백성들의 집은 모두 기와집이었고, 그 기와집이 끊임없이 이어져 있으며, 밥을 짓는데 장작이 아니라 숯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그로부터 53년 뒤 신라는 멸망하고 맙니다. 이후 경주, 특히 834년 동안이나 궁성이 자리잡고 있던 월성 지역은 금단의 땅이 되고 맙니다. 신라 삼국통일의 정신적인 지주였고 상징건물이자 랜드마크였던 황룡사와 황룡사 9층탑은 덩그러니 남아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몽골군 침략 때인 1235년 불타버리고 맙니다.
그후 700여 년이 지났을 때 큰일날 뻔한 일이 벌어집니다. 80미터의 위용을 자랑했던 황룡사 9층목탑을 콘크리트로 복원한다는 계획을 세웠던 겁니다.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요. 기자는 경향신문 70주년 기획인 ‘70인과의 동행’에 참여했습니다. 고고학자 조유전 박사와 함께 경향독자 35명를 모시고 경주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지난주 감은사와 대왕암 기행에 이은 두번째 이야기입니다. 이번 주 주제는 월성과 황룡사터 기행입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89회는 제목은 ‘황룡사 9층탑, 콘크리트로 복원될 뻔 했던 사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