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more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3 episodes available.
August 23, 2024weekend; 일본 열도에 ‘동해 바다’ 교가가 울려퍼진 까닭일본 전국고교야구선수권 대회는 일명 고시엔으로 불립니다. 일본 프로야구 한신 타이거스의 홈구장인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기 때문인데요, 고시엔은 일본 최대의 야구 축제입니다. 고시엔 본선이 열리는 8월이면 한신 타이거스는 고교 야구에 홈구장을 내어주고 홈 경기를 다른 곳에서 치릅니다. 본선 2주간 NHK가 모든 경기를 생중계하는데, 시청률이 20퍼센트가 넘죠. 이런 큰 대회에서 한국계 학교인 교토국제고가 사상 처음으로 우승했습니다. 결승전에 승리한 뒤 ‘동해 바다’로 시작하는 한국어 교가가 NHK를 통해 일본 전역에 생중계됐습니다. 결승전 상대는 지역 라이벌 도쿄의 간토다이이치고였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4minPlay
August 17, 2024weekend; 파리 올림픽 시청률로 상한가 친 미국 NBC, 비결이 따로 있다!미국 올림픽 방송 주관사 NBC가 시청률에서 큰 성과를 냈습니다. 파리 올림픽 개최 후 첫 4일간 프라임 타임 시청자 수가 평균 3380만 명으로 2020년 도쿄 올림픽보다 77퍼센트 증가했는데요, 디지털 전략이 주효했습니다. TV 중계에만 머물지 않고 자체 보유 OTT로 라이브 스트리밍을 했고, 크리에이터를 섭외해 경기장 곳곳에서 콘텐츠를 제작해 틱톡, 인스타그램 등에 올렸죠. 스눕독의 경기 해설도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1minPlay
August 16, 2024weekend; 우리 ‘CJ 올리브영역’에서 만나! 2호선 성수역 이름 값은 얼마?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이 ‘CJ올리브영역’으로도 불리게 됩니다. 올리브영이 ‘부역명 유상 판매’ 입찰에서 10억 원을 써내 낙찰을 받았는데요, 앞으로 3년간 주역명인 ‘성수역’ 옆에 괄호를 넣고 ‘CJ올리브영’이 추가로 표기됩니다. 서울교통공사는 부역명을 판매해 적자를 줄이고, 기업은 홍보 효과를 누리는 건데요, 역명이 지니는 공공성과 수익성 사이에서 생각할 지점들이 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3minPlay
August 03, 2024weekend; 커피 인플레이션 시대, 스타벅스 커피 값에 숨겨진 경제 시그널은?스타벅스에 가는 사람이 줄고 있습니다. 미국 스타벅스에서는 아메리카노 한 잔이 6달러를 넘어섰습니다. 그러자 고가 커피 대신 드라이브 스루 커피 체인점을 찾거나 집에서 모닝 커피를 만들어 마시는 사람이 늘고 있는 거죠. 스타벅스의 2분기 매출이 9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6퍼센트 감소했습니다. 1년 이상 운영한 매장의 매출이 전 세계적으로 3퍼센트 줄었죠. 미국에서는 매출이 2퍼센트 줄고 영업 이익이 7.5퍼센트 감소했습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는 매출이 14퍼센트 급감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9minPlay
August 02, 2024weekend; 미국의 싱크탱크, 정체가 뭐길래 대선을 흔들어? 〈프로젝트 2025〉 내용 보니...공화당 강경파 MAGA와 트럼프 측근은 이미 트럼프 2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보수 성향의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과 함께 〈프로젝트 2025〉라는 보고서를 펴냈는데요, 무려 992쪽 분량입니다. 이 보고서에는 경제, 통상, 이민, 낙태, 외교, 안보 등 거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급진적인 보수 정책 요구가 담겼습니다. 2025년 정권 교체 첫날부터 시행할 구체적인 정책 계획인데요, 내용 일부가 너무 급진적이라 트럼프를 당황하게 만들고 있죠.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6minPlay
July 20, 2024weekend; 트럼프가 만들 4년, 90분짜리 연설에 다 담겼다!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 대회의 마지막 날이었던 7월 18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후보 지명을 수락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수락 연설에서 ‘통합’을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절반이 아닌 미국 전체의 대통령이 되기 위해 출마했다”고 했습니다. 수락 연설 내용을 보면 트럼프 집권 2기의 방향은 이민 단속, 세금 삭감, 무역 전쟁입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다시, 미국 우선주의’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1minPlay
July 19, 2024weekend; 아마존 밀림의 주인은 누구인가요?페루 정부는 아마존 일대에 퍼져 있는 ‘마슈코 피로’ 부족민의 수를 약 750명으로 추산합니다. 그런데 이들의 문화와 전통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습니다. 문명과 단절된 채 살아가는 부족이기 때문이죠. 이들은 왜 외부와의 접촉을 꺼리게 됐을까요. 시작은 산업 혁명 시대의 고무 붐이었습니다. 외부인들이 아마존 숲에 들어와 고무나무가 자라는 땅마다 사업소를 차렸고, 근처 원주민을 노예처럼 부리며 고무를 채취하게 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5minPlay
July 13, 2024이제 바르셀로나에선 에어비앤비 금지!바르셀로나에선 더 이상 에어비엔비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바르셀로나 시장이 1만 채가 넘는 에어비앤비 숙소의 단기 임대 허가를 철회하기로 했거든요. 오버투어리즘 때문입니다. 바르셀로나는 세계에서 관광객이 많이 찾는 도시 3위입니다. 놀러가는 사람이 늘자 단기 임대 숙소가 늘었습니다. 그 결과 지난 10년간 아파트 임대료가 68퍼센트 올랐습니다. 바르셀로나는 관광하긴 좋은 도시지만, 살기에는 나쁜 도시가 된 거죠.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5minPlay
July 12, 2024아마존, 1994년 창업 당시 경력직 입사 스펙은?아마존이 서른 살 생일을 맞았습니다. 생일 선물은 푸짐했죠. 며칠 전 시가 총액 2조 달러를 돌파하며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과 어깨를 나란히 했습니다. 아마존은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했지만, 시작부터 비범했습니다. 지금이 아니라 다음을, 현재가 아니라 미래를 만들어 팔았습니다. 아마존의 역사 속에는 실패의 흔적도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아마존은 승자입니다. 비범함이라는 가치를 놓지 않았기 때문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4minPlay
July 06, 2024플래닛B는 없다! 화성을 꿈꾸는 인류의 현실과 미래인류가 화성에서 장기 거주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실험이 이번 주에 끝납니다. 실험에 참여한 과학자 4명은 지구에 만들어진 모의 화성 기지에서 1년 이상 외부와 단절된 채 식량을 자급자족하며 생활했습니다. 이번 실험에는 의학자, 건축 구조물 공학자, 응급의학과 의사, 미생물학자가 참여했습니다. 과학자들의 주요 임무는 화성에서의 식량 자급을 위한 농사였는데요, 영화 〈마션〉에서처럼 감자는 아니고 토마토 재배에 성공했습니다. 인류의 화성 진출은 언제쯤 이뤄질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9minPlay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3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