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more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
June 07, 2024X에 가짜 뉴스를 퍼나르는 사람들, 대체 누굴까?2020년 미국 대선 기간 60만 명 이상의 미국 유권자 표본으르 조사한 결과 소셜 미디어 X를 통해 가짜 뉴스의 80퍼센트를 퍼트린 슈퍼 공유자가 전체 사용자의 1퍼센트 미만인 2000여 명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슈퍼 공유자들이 젊은 극우 남성일 것이라는 고정관념과는 달리, 대부분 보수적인 주에 거주하는 공화당 성향의 중년 백인 여성이었는데요, 이들은 리트윗 기능을 활용해 매일 엄청난 양의 가짜 뉴스를 퍼날랐습니다. 우리는 왜 가짜 뉴스에 현혹되는 걸까요? 슈퍼 공유자들은 왜 컴퓨터 앞에서 리트윗 버튼을 누르는 걸까요? 이제 질문은 진화해야 합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0minPlay
June 01, 2024중산층이 복권에 집착하는 이유는? 욕망과 희망의 계급도통계청이 조사한 결과 지난 1분기에 복권을 구매한 가구가 10집 중 한 집 꼴로 나타났습니다. 비중이 최근 5년간 가장 컸던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전체 조사 대상 가구 2183만 가구 중 복권을 구매한 가구는 221만 가구였습니다. 이들은 한달 평균 7300원 정도를 지출했습니다. 복권을 가장 많이 구입한 가구는 소득 40~60퍼센트에 해당하는 3분위였습니다. 이들이 복권에 대해 갖는 희망을 들여다 보면, 중산층이 사회에 관해 갖는 욕망이 보이죠.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9minPlay
May 31, 2024독한 여름이 온다! 올여름 폭염일수 100일 넘는다?!극단적인 폭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만의 이야기도 아닙니다. 기후 위기로 인해 지난해 극단적 폭염을 나타낸 날이 평균보다 무려 26일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보고서는 폭염이 기후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이라며 지구 온난화가 극단적 기후의 강도와 변화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폭염은 우리의 생명과 터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경제적인 어려움도 가중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여름, 안전하게 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2minPlay
May 26, 2024비만 치료제 위고비의 기세! 초콜릿 회사의 수상한 전략은?네슬레가 비만 치료제에 대응해 맞춤형 식품 라인을 개발했습니다. 바이탈 퍼슈트라는 이름의 식품 라인은 섬유질과 단백질이 풍부합니다. 네슬레는 자사의 신제품이 체중을 관리하는 모든 사람에게 균형 잡힌 식단을 지원할 것이라며 자신감 넘치는 포부를 밝혔죠. 그러나 한편으로 네슬레는 가난한 국가에게는 더 많은 설탕을, 그리고 더 많은 비만을 팔아 왔습니다. 비만약과 식품 대기업의 얽히고설킨 관계는 어떤 모습일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5minPlay
May 25, 2024서울대 N번방 사건, 더 큰 소리로 이야기해야 할 이유서울대학교 출신 남성들이 동문 여성 수십여 명의 합성 음란물을 만들고 유통한 사건이 수면 위로 드러났습니다. 이들은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지인들의 얼굴을 음란물에 합성했는데요.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러한 종류의 딥페이크 성범죄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아르헨티나의 선거, 또 각종 정치 싸움이나 가짜 뉴스와도 연계되며 더더욱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기술의 발전에 앞서 우리 사회가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5minPlay
May 24, 2024[숲속의 생활] 민족 정기를 빨아 먹는다던 이 나무! 실은 꿀벌의 친구?우리가 동요로 익히 알고 있는 아카시아 나무의 원래 명칭은 아까시 나무입니다. 아까시 나무는 척박한 곳에서도 빠르게 자라고, 햇빛을 좋아하는 나무인데요. 이 나무, 한국에서 아주 기구한 운명을 타고 자랐습니다. 6.25 전쟁 이후 민둥산을 재건하려는 속셈에서부터 한국의 정기를 파괴한다는 신념, 관을 뚫고 뿌리가 자란다는 괴소문까지 짊어지고 있었죠. 각종 소문과 이야기에 감춰진 아까시 나무, 그 진짜 모습은 어떨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9minPlay
May 19, 2024극락도 락이다! 뉴진스님의 비트가 힙한 이유는?뉴진스님과 힙한 불교에 대한 젊은 세대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지난 5월 3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뉴진스님의 공연에 대해 말레이시아 불교계는 비판의 목소리를 냈는데요, 국내에선 아직 긍정적인 반응이 지배적입니다. 포용과 안정, 편안함을 내세우는 불교의 매력이 젊은 세대를 타깃하고 있습니다.브랜딩을 서슴지 않는 종교가 탄생한 시대입니다. 현재의 불교와 젊은 세대의 욕망을 알아 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4minPlay
May 18, 2024[숲속의 생활] 이 곳에서는 나비도 식물도 시민권이 있다고요?코스타리카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나라입니다. 지구 면적의 0.03퍼센트에 불과하지만 생물 다양성에서는 거의 6퍼센트를 차지하죠. 이 코스타리카가 세계 최초로 공영 동물원을 없앤 나라가 됐습니다. 두 개 남아있던 주립 동물원을 폐쇄하기로 결정한 것이죠. 2013년, 야생 동물 보호법을 만든 코스타리카는 해당 결정이 국가 재정에 의한 감금의 종식이 될 것이라 밝혔습니다. 동물원 폐쇄에 얽힌 다양한 쟁점들을 살펴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2minPlay
May 17, 2024법정 밖의 법정, 디지털 교도소? 사법 불신이 낳은 비극범죄 혐의자의 각종 신상 정보를 공개하는 사적 제재 웹사이트인 디지털 교도소가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지난 5월 13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디지털 교도소 사이트의 접속 차단을 의결했죠. 방심위는 디지털 교도소의 무분별한 신상 정보 공개가 심각한 피해를 불러올 것이라 우려했습니다. 실제로 디지털 교도소는 피의자뿐 아니라 용의자, 피해자의 얼굴까지 노출시키며 논란을 만들어 왔었죠. 우리 사회는 왜 이렇게 사적 제재를 바라게 되었을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8minPlay
May 11, 2024오랑우탄을 선물로 주신다고요? 팜유에 얽힌 불편한 진실말레이시아가 중국의 판다 외교를 참조해서 오랑우탄 외교에 나서겠다는 소식이 발표됐습니다. 플랜테이션 원자재부의 장관인 조하리 압둘 가니가 본인의 소셜 미디어에 올린 내용인데요. 오랑우탄 외교가 말레이시아의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노력을 보여 줄 것이라 말했습니다. 말레이시아가 이런 움직임에 나선 건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적을 받는 팜유 농장 때문인데요. 멸종 위기종 보호와 팜유가 공존할 수 있을지, 그리고 동물 외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봐야 할 지점은 없는지 살펴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8minPlay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