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more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
May 10, 202420대는 투표권 4장 주자고? 은퇴하는 연구원의 작심 발언20대에게 1인당 4표, 50대에게 3표를 부여하는 ‘세대별 차등투표제’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홍범교 명예선임연구위원이 퇴직을 앞두고 제안한 내용으로, 저출생·고령화 시대에 1인1표 원칙으로는 미래 세대의 목소리가 반영되기 어렵다는 것이 그 이유인데요. 또한 소득 관련 현안 투표 시 소득분위별로 차등투표권을 줘야 한다고도 주장했습니다. 세대별 차등 투표제,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와 맥락, 첨예한 연금 이슈를 함께 짚어 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3minPlay
May 05, 2024미국 사람들, 틱톡 없이 살 수 있을까? 미운털 박힌 진짜 이유는?미국의 이른바 틱톡 퇴출법에 약 50퍼센트의 미국 국민이 지지 의사를 표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물론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입니다. 미국은 왜 틱톡을 쫓아내고 싶어 하는 걸까요? 표현의 자유의 국가라 불린 미국이 이래도 되는 걸까요? 틱톡의 빈자리에는 무엇이 들어설까요? 미국의 틱톡 퇴출과 관련한 다양한 시선을 짚어 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9minPlay
May 04, 2024경기북부특별자치도, 이름이?? 정말 잘 해야 할 이유!경기도가 지난 1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에 평화누리특별자치도라는 새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이 전해지자 인터넷 커뮤니티와 경기도청 공무원 게시판, 경기도 누리집에는 불만과 비판의 글이 쇄도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의 정체성을 찾기 어렵다거나 직관적이지 않다는 혹평이 줄을 이었습니다. 이름만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경기 북부는 왜 독립하고 싶은 걸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4minPlay
May 03, 2024[숲속의 생활] 공공기관 연봉 1위는 어디? 대체 뭐하는 곳이길래...지난해 공공기관 연봉 1위는 의외의 기관이 차지했습니다. 산림청 산하의 한국치산기술협회가 직원 평균 연봉 1억 17801만 원으로 1위를 차지한 건데요, 고액 연봉으로 유명한 산업은행(1억 1300만 원)과 중소기업은행 (1억 861만 원) 등 금융 기관들의 평균 연봉을 제쳤습니다. 한국치산기술협회는 산을 관리합니다. 기후 위기 시대의 치산은 더 많은 성과급으로 이어졌죠. 이들은 대체 어떤 성과를 낸 걸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6minPlay
April 27, 2024〈수사반장 1958〉에 자막이 깔리는 이유는?MBC가 일반 시청자를 대상으로 드라마 본방송 한국어 자막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국내 최초의 드라마인 〈천국의 문〉이 1956년 전파를 탄 뒤 지상파 방송사가 한글 자막이 나오는 드라마를 제작해 본방송에 내보내는 건 68년 만에 처음입니다. 자막이 도입된 작품은 〈수사반장 1958〉이었습니다. 노년 시청자를 TV 앞에 붙잡아 두려는 전략이죠. 그러나 자막만이 모든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우리가 해결해 나가야 할 TV의 접근성 문제에는 무엇이 있을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5minPlay
April 26, 2024응답하라, 스물두 살 네이버 지식iN!올해로 22주년을 맞은 네이버 지식인이 서비스를 개편합니다. 질문에 대한 마감 기능이 종료되고 채택수 제한이 없어졌는데요, 이제는 마감 없이도 답변을 계속 등록할 수 있고 채택된 답변이 있어도 새로운 답변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도 특정 답변에 지지를 표현할 수 있어 질의응답 과정에 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지식인은 지식 커뮤니티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왜 이 시대에는 커뮤니티가 이토록 중요해진 걸까요? 사람과 사람 사이, 오가는 질문과 답변에서 태어나는 것은 무엇일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2minPlay
April 13, 2024AI시대, 진짜 돈버는 AI를 만드는 회사가 있다?AI시대, 진짜 돈버는 AI를 만드는 회사가 있다?그래픽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가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확보에 나섰습니다. 영상 제작자들이 울거나 웃는 감정 표현이 담긴 일상 영상을 제출할 경우 최대 120달러를 지불하기로 한 건데요, 분당 평균 2.62달러에서 최대 7.25달러까지 보상합니다. 손과 발, 눈 등 클로즈업 샷을 포함한 짧은 영상에도 대가를 지불하기로 했습니다. 어도비는 오픈AI의 텍스트 투 비디오 인공지능, 소라에 도전하려 합니다. 어도비의 인공지능과 데이터만이 가진 강점은 무엇일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1minPlay
April 12, 2024느슨한 연결의 시대, 카카오톡은 안 쓴다?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의 이용자 수가 유튜브에 밀린 데 이어 최근에는 4500만명대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톡의 활성 이용자가 45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22년 5월 이후 22개월 만에 처음인데요, 1년 전인 지난해 4월에 비해서는 210만 명이나 줄었습니다. 이용자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넘어가면서 국민 메신저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겁니다. 관계의 형태, 관계 맺기의 구조가 변하면서 카카오톡도 흔들리고 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1minPlay
April 06, 2024독일에서 난데 없이 뻐끔뻐끔 쇼?! 돈 때문에 놓지 못하는 이것은...4월 1일, 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앞 3.18 광장에서 레게 음악과 뭉게구름이 피어올랐습니다. 다름 아닌 대마초 합법화를 자축하는 단체 흡연 행사였습니다. 이제 독일에서는 18세 성인이 대마초를 최대 25그램까지 개인 소비 목적으로 소지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도 세 그루까지 재배할 수 있습니다. 이번 합법화를 통해 독일은 몰타와 룩셈부르크에 이어 세 번째로 개인용 대마초를 합법화한 유럽연합 회원국이 됐습니다. 대마초 합법화, 독일에게 득이 될까요, 독이 될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8minPlay
April 05, 2024나무도 고령화가 문제? 나이 든 나무, 정말 베어내야 할까?매년 4월 5일은 식목일입니다. 식목일을 맞아 많은 이들이 새로운 나무를 심죠. 그렇다면 우리나라에 이미 살고 있는 나무들의 상황은 어떨까요? 국내 숲에는 30년생이 넘어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줄기 시작한 나무가 10그루 중 일곱 그루가 넘습니다. 목맥경화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어쩌면 이 시각, 지나치게 인간 중심적인 시각은 아닐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0minPlay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