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more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
March 03, 2024[숲속의 생활] 지구를 살리려고 나무를 자른다? 궁지에 몰린 남아공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 단체들이 주도해 나무를 베고 있습니다. 일견 상식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름 아닌 물 부족 때문입니다. 나무와 사람이 나눠 쓸 수 있는 물이 줄어들면서 나무를 베기 시작한 것이죠. 물 부족, 우리와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데이 제로를 막기 위해 모두가 행동해야 합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3minPlay
March 02, 2024미국 대선을 흔드는 뜨거운 논쟁! 이 세포는 사람입니까?미국 앨라배마주에서 최근 주법에 따라 냉동 배아를 인간으로 보는 판결이 나왔습닌다. 냉동 배아를 파괴하는 것은 미성년자 부당 사망법의 적용을 받는다는 판결입니다. 체외 수정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상 여러 개의 배아를 만들게 되는데요. 이 길이 사실상 막히게 되면서 앨라배마주에서는 벌써 세 곳의 의료 기관이 체외 수정 시술을 중단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0minPlay
February 29, 2024메타가 LG전자와 만나면? 오픈소스 인공지능 ‘라마’의 놀라운 가능성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가 10년 만에 한국을 찾아 삼성전자, LG전자 등과 협력 방안을 찾았습니다. 저커버그는 AI 반도체, XR과 MR 등 한국의 첨단 기술 인프라에 큰 관심을 보였는데요. 베이스는 메타의 거대 언어 모델 라마입니다. 라마는 오픈 소스 AI로 가벼운 구동이 특징인데요. 이 가벼움이 어쩌면 시장의 모습을 바꿀지 모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9minPlay
February 25, 2024엔비디아 천비디아 가나요? 아니, 근데 여기서 인텔이 왜 나와?현지시간 2월 22일, 미국 증시는 엔비디아의 독무대였습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3만 9000선을 넘었고, S&P500 지수는 작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96퍼센트 오른 16041.62에 거래를 마쳤죠. 다 잘해서가 아닙니다. 엔비디아가 혼자 끌어올린 수치입니다. AI의 티핑 포인트를 앞두고 엔비디아와 인텔이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9minPlay
February 24, 2024[숲속의 생활] KT 위즈가 부산 기장으로 간 까닭은? 기후 재난이 바꾼 전지 훈련 풍경류현진 선수가 국내로 복귀했습니다. 계약 기간 8년, 계약 금액 170억 원으로 한국 프로야구 사상 역대 최고 수준입니다. 류현진 선수는 2월 23일 오전, 일본 오키나와로 출국했습니다. 스프링캠프에 합류하기 위해서입니다. 스프링캠프는 한 해를 준비하는 기간입니다. 이 기간에 각 팀의 전략과 시즌 운용 밑그림이 완성되죠. 그런데, 기후위기가 이 전통의 모습도 바꾸고 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6minPlay
February 23, 2024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50만 부가 팔렸지만 아직 우리의 난장이들은...조세희 작가의 연작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 이달 인쇄 150만 부를 기록했습니다. 1978년 문학과지성사에서 초판이 출간된 뒤 46년 만입니다. 조세희 작가는 이 소설이 읽히지 않는 미래를 바랐지만 아직도 우리 주위에는 난장이가 가득합니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현실을 벗어나지 못하는 지금, 우리는 도시를 다시 사유해야 합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ore23minPlay
February 18, 2024[숲속의 생활] 인도네시아 선거 결과가 지구의 운명을 결정한다?!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민주주의 국가 인도네시아에서 얼마 전 대선이 열렸습니다. 인도네시아의 대선은 단순히 인도네시아만의 이야기가 아닌데요. 차기 대통령의 경제 정책, 기후 정책 방향에 따라 전 세계의 기후 문제가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에 따라 전 세계의 기후 문제도 달라질 수 있죠. 인도네시아의 석탄과 니켈, 팜유를 결정하는 정치에 따라 미래의 기후가 바뀔 수 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6minPlay
February 17, 2024테일러 스위프트의 키스 뒤에 남겨진 것은? 슈퍼볼의 미국 사회학지난 2월 11일, 미국 프로풋볼리그의 결승전인 슈퍼볼이 열렸습니다. 이번 슈퍼볼은 최대 시청자 수를 기록했습니다. 평균 시청자는 1억 2340만 명이었는데,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장면을 지켜본 시청자 수 다음으로 많은 규모입니다. 이번 슈퍼볼은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러브스토리로도 주목받았는데요. 가장 미국적인 행사 슈퍼볼을 통해 미국의 현재를 들여다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9minPlay
February 16, 2024스타벅스 제국, 한국! 모닝 커피는 정말 생산성을 높여줄까?국내의 스타벅스 매장 수가 미국과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국의 매장 수는 전년보다 116개 늘어난 1893개로 집계됐는데요. 인구가 한국의 2.5배인 일본과의 매장 수 차이는 단 여덟 개입니다. 3위로 올라설 날도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우리는 왜 이렇게까지 카페인을 사랑하는 걸까요? 카페인은 우리에게 무엇을 주고, 또 무엇을 앗아가고 있을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6minPlay
February 11, 2024대혼란 예고?! 의대 정원 늘어나니 N수생도 늘어난다정부가 의대 정원을 2000명 확대했습니다. 이로써 전국 의대 입학 정원은 5058명이 됐습니다. 학원가도 빠르게 들썩였습니다. 의대 재수 문의가 폭발한 겁니다. 중요한 건 의대 정원을 늘리고 줄이는 것만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의대 정원과 관련한 문제는 우리 사회 전체의 갈등을 응축하고 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18minPlay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