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more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
October 28, 2023美 신임 하원의장 마이크 존슨 ... 트럼프의 영향력 끝나지 않는 미국 [10월 4주]북저널리즘 weekend #33-2. 美 신임 하원의장 마이크 존슨 ... 트럼프의 영향력 끝나지 않는 미국 [10월 4주]미국 권력 서열 3위인 하원의장 공석이 22일 만에 해소됐습니다. 공화당 4선 마이크 존슨 의원이 신임 하원의장으로 선출된 것인데요, 대표적인 친 트럼프 의원으로 꼽힙니다. 또, 존슨 의장은 주요 이슈마다 강경 보수 성향의 입장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임신 중지에 대한 형사 처벌을 옹호하고, 성소수자 관련 사안에서도 동성 결혼 합법화 반대, 성적 정체성 및 성적 지향 교육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진행: 신아람 / 출연: 김혜림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3minPlay
October 27, 202330억 원 손실, 청도 소싸움도 취소시킨 럼피스킨병 [10월 4주]북저널리즘 weekend #33-1. 30억 원 손실, 청도 소싸움도 취소시킨 럼피스킨병 [10월 4주]1990년대 후반부터 열리던 전북 정읍의 소싸움 대회가 폐지 수순을 밟습니다. 정읍시는 오는 11월 소 힘겨루기 대회를 열되 내년 예산을 편성하지 않기로 했죠. 한때 관광객들의 인기를 끌었던 소싸움은 동물권에 관한 인식이 바뀌면서 동물학대라는 주장과 전통문화라는 입장이 맞서 왔습니다. 다만, 전용 경기장 건립에 막대한 예산이 들어갔고 지역 상징성도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진행: 김혜림 / 출연: 신아람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위 팟캐스트 에피소드는 스포티파이의 후원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스포티파이 포 팟캐스터에서 팟캐스트를 만들어 보세요! podcasters.spotify.com"...more28minPlay
October 25, 2023운명을 바꾸는 마이크로 트렌드 [북저널리즘x스포티파이][북저널리즘x스포티파이] 운명을 바꾸는 마이크로 트렌드마이크로 트렌드는 작습니다. 작은만큼 뾰족합니다. 세상을 휩쓰는 거대 트렌드는 얕고 넓은 사회 현상으로 불리지만, 소수의 컬트적 팬을 만드는 마이크로 트렌드는 이곳 저곳에 숨어 있습니다. 소수의 열광은 거대한 변화의 단초이자 단서가 됩니다. 북저널리즘의 에디터들이 2023년의 가을과 2024년의 겨울을 정의할 세 가지의 마이크로 트렌드를 꼽았습니다. 직접 체험하고, 만났습니다. 마이크로 트렌드가 만드는 커뮤니티, 취향, 욕망을 경험해 보세요.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https://www.bookjournalism.com/위 팟캐스트 에피소드는 스포티파이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지금 바로 스포티파이에 가입하고 내 취향에 맞는 음악과 팟캐스트를 발견해보세요. www.spotify.com/kr-ko...more33minPlay
October 21, 2023주진형, 백종원, 송은이까지... 유명인 사칭하는 ‘가짜 광고’ 메타는 왜 놔둘까? [10월 3주]북저널리즘 weekend #32-2. 주진형, 백종원, 송은이까지... 유명인 사칭하는 ‘가짜 광고’ 메타는 왜 놔둘까? [10월 3주]페이스북, 릴스 등 소셜 미디어에 유명인을 사칭한 투자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리딩방 가입을 유도해 속여 투자금을 편취하는 방식입니다. 명백한 사칭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비방 목적이 없어 사이버상 명예훼손 적용이 쉽지 않습니다. 피해자가 민사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위해서는 재산상, 정신상 손해를 직접 입증해야 합니다.진행: 김혜림 / 출연: 백승민, 신아람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5minPlay
October 20, 20232009년생부터 담배 금지하는 영국! 마음 급한 담배 회사, 대마초 잡는다? [10월 3주]북저널리즘 weekend #32-1. 2009년생부터 담배 금지하는 영국! 마음 급한 담배 회사, 대마초 잡는다? [10월 3주]세계 1위 담배 회사 ‘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를 포함한 대형 담배 회사들이 루이보스 차와 같은 니코틴 함유 물질로 만든 가열 담배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향이 첨가된 가열식 담배에 대한 EU의 금지 조치에 맞서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연구자들은 차를 흡입하는 것이 알려지지 않은 위험을 부를 수 있다 경고했습니다.진행: 김혜림 / 출연: 백승민, 신아람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위 팟캐스트 에피소드는 스포티파이의 후원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스포티파이 포 팟캐스터에서 팟캐스트를 만들어 보세요! https://podcasters.spotify.com/...more18minPlay
October 14, 2023수신료 분리 징수부터 사장 해임까지... 위기의 공영 방송과 《KBS 죽이기》[10월 2주]북저널리즘 weekend #31-2. 수신료 분리 징수부터 사장 해임까지... 위기의 공영 방송과 《KBS 죽이기》[10월 2주]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KBS에 대해 “필요하다면 민영화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나온 말입니다. 지난 7월 수신료 분리 징수 시행령 개정 이후 KBS의 수신료 수입은 전년 대비 24억 원 감소했습니다. 이동관 위원장은 KBS에 대해 “기본적으로 자구노력이 필요하다”며 “공영방송은 건드릴 수 없는 금자탑인가”라고 말했습니다. 이 소식과 함께, 북저널리즘의 101번째 시리즈 《KBS 죽이기》를 소개합니다.진행: 김혜림 / 출연: 백승민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2minPlay
October 13, 2023요즘 ‘유튭’ 뭐 봄? 난 숏츠 봄! 넷플 이긴 유튜브, 답은 숏츠에? [10월 2주]북저널리즘 weekend #31-1. 요즘 ‘유튭’ 뭐 봄? 난 숏츠 봄! 넷플 이긴 유튜브, 답은 숏츠에? [10월 2주]미국 10대는 넷플릭스보다 유튜브에서 더 많은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투자은행 파이퍼 샌들러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대 응답자들은 하루 동영상 시청 시간 중 29.1퍼센트를 유튜브에서, 28.7퍼센트를 넷플릭스에서 소비한다고 답했습니다. 무료 동영상 서비스인 유튜브가 젊은 층 사이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진행: 김혜림 / 출연: 백승민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위 팟캐스트 에피소드는 스포티파이의 후원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스포티파이 포 팟캐스터에서 팟캐스트를 만들어 보세요! https://podcasters.spotify.com/...more16minPlay
October 08, 2023두산로보틱스 IPO, 로봇은 우리의 일자리를 가져갈까? 새로운 시대의 노동을 준비하는 《노동 4.0》 [10월 1주]북저널리즘 weekend #30-3. 두산로보틱스 IPO, 로봇은 우리의 일자리를 가져갈까? 새로운 시대의 노동을 준비하는 《노동 4.0》 [10월 1주]맥주를 서빙하고 커피를 준비하는 등의 협업 로봇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두산로보틱스가 코스피에 성공적으로 기업 공개를 마쳤습니다. 공모가 2만 6000원 대비 2만 5400원 급등한 5만 1400원에 장을 마감했죠. 시가 총액은 3조 331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연간 1만 대 이상의 협동 로봇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재계에서는 이 협동 로봇 시장이 연 평균 20퍼센트대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로봇과 협업하는 시대, 로봇과 함께 노동하는 시대는 이미 도착한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봇과 함께 노동하는 시대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와 분석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독일의 사례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노동을 살피는 북저널리즘의 종이책 《노동 4.0》을 소개합니다.“두 가지 시나리오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많은 업무 공정에서 자동화가 이뤄진 고도의 기술 중심 시나리오가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자동화로 인한 노동 상실 현상이 폭넓게 발생하고, 노동 시장은 고도로 숙련된 기획자 집단과 이들의 결정에 의해 단순 업무를 수행하는 노동자 집단으로 양분된다. 또 하나는 인간 중심 시나리오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인간이 느슨한 네트워크 속에서 계속해서 관리 및 결정 권한을 가지고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을 활용해 업무 공정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진행: 김혜림 / 출연: 백승민, 신아람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7minPlay
October 07, 2023국감장 가는 탕후루 ... 위고비는 비만 문제 해결할 수 있을까? [10월 1주]북저널리즘 weekend #30-2. 국감장 가는 탕후루 ... 위고비는 비만 문제 해결할 수 있을까? [10월 1주]식량 시스템의 구조적인 인종 차별로 인해 미국에서 10대 이하 아이들에게 지방간 질환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멕시코계, 일부 아시아계 및 빈곤층 어린이들은 가공 식품과 정크 푸드 마케팅의 주요 타깃이며, 이에 따라 젊은 층의 간 이식 건수가 늘어나고 미국의 기대 수명이 76.4세로 2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진행: 김혜림 / 출연: 백승민, 신아람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4minPlay
October 06, 2023만성피로의 해결책, 씨앗은 코로나19에 있을까? 코로나19에서 시작한 발견과 발전 [10월 1주]북저널리즘 weekend #30-1. 만성피로의 해결책, 씨앗은 코로나19에 있을까? 코로나19에서 시작한 발견과 발전 [10월 1주]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한 커털린 커리코와 드루 와이드먼에게 돌아갔습니다. 현지 시간 2일, 스웨덴 카톨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현대 인류 건강에 대한 가장 큰 위협 중 하나가 닥친 시기에 전례 없는 백신 개발 속도를 보여 코로나19 팬데믹을 종결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며 수상 이유를 밝혔습다. 진행: 김혜림 / 출연: 백승민, 신아람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위 팟캐스트 에피소드는 스포티파이의 후원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스포티파이 포 팟캐스터에서 팟캐스트를 만들어 보세요! https://podcasters.spotify.com/...more24minPlay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