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more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
December 01, 2023아마존의 물류 욕심? 택배에 첨단을 끼얹었더니 1등을 했네! [12월 1주]아마존의 물류 욕심? 택배에 첨단을 끼얹었더니 1등을 했네! [12월 1주]아마존이 대형 물류 업체인 UPS와 페덱스를 제치고 미국 내 최대 민간 물류 업체로 부상했습니다. 아마존은 지난해 미국에서 52억 개의 택배를 처리했고 올해는 59억 개 운송을 예상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커머스 시장의 미래는 물류에 달려 있습니다. 미래의 물류 산업은 어떤 모습이 될까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33minPlay
November 26, 2023밥상머리 기후대책이 있다고? 이제 트렌드는 기후 식단! [11월 4주]밥상머리 기후대책이 있다고? 이제 트렌드는 기후 식단! [11월 4주]사일로를 뛰어넘어 기후를 이야기하는 위크엔드의 새로운 코너가 문을 열었습니다. 첫 주제는 기후 식단입니다. 2016년, 케임브리지 사전에 ‘climatarian’이라는 단어가 등재됐습니다. 기후식주의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환경에 가장 덜 해로운 것을 기준으로 먹을 것을 선택하는 이들입니다. 거창해 보이고, 어려워 보이지만 생각보다 쉽게 실천할 수 있습니다. 기후 식단과 기후 요리에 대해 알아 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2minPlay
November 25, 2023인류를 위협하는 조용한 전염병! WHO가 작심하고 경고했다 [11월 4주]인류를 위협하는 조용한 전염병! WHO가 작심하고 경고했다 [11월 4주]지난 11월 18일부터 24일까지는 항생제 내성 인식 주간이었습니다. WHO가 침묵의 전염병이라 불리는 항생제 내성을 예방하고, 인식을 높이고자 지정한 주간입니다. 우리나라 질병관리청도 캠페인과 정책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올해의 슬로건은 항·필·제·사!(항생제는 필요할 때만 제대로 사용해요!)였습니다. 항생제는 유용하고 안전합니다. 그러나 그만큼 내성이 불러올 위험은 생각보다 더 클 수 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2minPlay
November 24, 2023일론 머스크 스타십 발사 또 실패? 화성 정복은 가능할까?[11월 4주]일론 머스크 스타십 발사 또 실패? 화성 정복은 가능할까?[11월 4주]일론 머스크의 꿈은 과연 실현될 수 있을까요? 모두가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를 주목하고 있던 지난 18일, 두 번째 스타십 발사가 있었습니다. 결과는 실패였죠. 그러나 성공을 향해 큰 도약을 이뤄낸 실패였습니다. 일론 머스크도 만족스러워했다는 후문입니다. 과연 인류는 화성에서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까요? 화성을 향한 인류의 도전이 과연 어디까지 왔는지, 스타십 프로젝트의 정체와 함께 알아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8minPlay
November 18, 2023오사마 빈 라덴의 편지가 왜 지금? 틱톡으로 보는 뉴스의 함정 [11월 3주]오사마 빈 라덴의 편지가 왜 지금? 틱톡으로 보는 뉴스의 함정 [11월 3주]틱톡을 통해 반유대주의적 메시지가 퍼지는 가운데, 《가디언》이 2002년 보도한 오사마 빈 라덴의 메시지를 인용한 기사를 삭제했습니다. 빈 라덴의 ‘미국 국민에게 보내는 편지’가 맥락 없이 틱톡 등의 소셜 미디어에 공유, 인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틱톡에서 ‘미국 국민에게 보내는 편지’를 검색하면 수십 개의 동영상이 나오며, 일부는 조회수가 수십만 회에 이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38minPlay
November 17, 2023잘 알지도 못하면서 왜 파셨나요? 끝나지 않은, 가습기살균제 이야기 [11월 3주]잘 알지도 못하면서 왜 파셨나요? 끝나지 않은, 가습기살균제 이야기 [11월 3주]지난 11월 9일, 대법원으로부터 가습기 살균제 제조사인 옥시레킷벤키저와 한빛화학이 위자료 500만 원과 지연 손해금을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이번 판결로 인해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폐 질환 사이의 인과관계가 낮다고 분류된 피해자들도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고무적이지만 아직 고민해야 할 지점이 많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7minPlay
November 11, 2023김포 서울 편입에 쓰레기 큰 그림 있다? 플라스틱 못 잃는 한국 [11월 2주]김포 서울 편입에 쓰레기 큰 그림 있다? 플라스틱 못 잃는 한국 [11월 2주]정부가 일회용 종이컵 사용 금지를 없던 일로 했습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부담을 준다는 이유입니다. 일회용 종이컵은 일회용품 규제 품목에서 제외돼 앞으로 식당과 카페에서 쓸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빨대 사용과 비닐봉지 판매 금지는 계도 기간이 무기한 연장됐습니다. 환경단체들은 국제 사회의 흐름에 역행한다며 비판했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30minPlay
November 10, 2023집중력 높여주는 약? 입시 컨설턴트? 수능 D-7, 한국 입시 요지경 [11월 2주]집중력 높여주는 약? 입시 컨설턴트? 수능 D-7, 한국 입시 요지경 [11월 2주]50만 명이 응시하는 수능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N수생은 전체의 31퍼센트, 16만 명으로 5년새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능 시기에 맞춰 과대 광고 식품과 불법 의약품 매매를 단속했습니다. 킬러 문항 배제와 의대 선호 현상 등이 엮인 올해 수능과 대입 제도를 들여다봅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9minPlay
November 04, 2023아프리카엔 돈을 쏟아 부어도 안된다? 세계를 구하는 진짜 해법 [11월 1주]아프리카엔 돈을 쏟아 부어도 안된다? 세계를 구하는 진짜 해법 [11월 1주]국제통화기금(IMF)가 소말리아와 36개월짜리 신용 프로그램 계약을 맺고 1억 달러의 자금을 지원합니다. IMF는 경제 문제, 사회적 요구, 청년 실업, 기후 위험 등을 소말리아의 발전을 가로막는 문제로 지적하며 자금 지원을 통해 소말리아의 재건과 발전을 돕겠다고 밝혔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more31minPlay
November 03, 2023일론 머스크 잠깐! 실패로 돌아간 완전 자율주행 택시 실험 [11월 1주]일론 머스크 잠깐! 실패로 돌아간 완전 자율주행 택시 실험 [11월 1주]잇따른 사고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완전 자율주행차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실용성 때문인데요, 특히 Z세대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자율주행 택시를 이용한 음식 배달 서비스나 출퇴근, 야간 이동 등에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more28minPlay
FAQs about 북저널리즘 weekend:How many episodes does 북저널리즘 weekend have?The podcast currently has 191 episodes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