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장
수보리여, 그대 생각에는 어떠느뇨 여래가 육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 육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에는 어떠느뇨 여래가 천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 천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에는 어떠느뇨 여래가 혜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 혜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에는 어떠느뇨 여래가 법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 법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에는 어떠느뇨 여래가 불안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 불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에는 어떠느뇨 저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를 여래가 모래라 말씀하던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모래라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에는 어떠느뇨 저 한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수와 같이 이 같은 모래 수 등의 항하가 있고,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 수의 불세계가 이와 같다면 많다 하겠는가?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저 국토 가운에 모든 중생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나니, 왜냐하면 여래가 말씀한 모든 마음은 다 마음이 아니기에 이를 이름하여 마음이라 하는 것이다. 무엇 때문이겠는가 수보리여, 과거의 마음도 잡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잡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18. 산스크리트본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보리여, 있는가 여래의 육안이?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있습니다 여래의 육안은.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보리여 있는가 여래의 천안이?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있습니다 여래의 천안은.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보리여, 있는가 여래의 혜안이?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있습니다. 여래의 혜안은.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보리여, 있는가 여래의 법안이?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있습니다 여래의 법안은.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보리여, 있는가 여래의 불안이?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있습니다 여래의 불안은.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보리여, 강가 큰 강에 있는 모래알들에 관한 한, 참으로 그들 모래알들이 여래에 의해서 설해진 적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참으로 그러합니다 선서시여, 설해졌습니다 여래에 의해서 모래알들은.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보리여, 강가 큰 강의 모래알들만큼 그만큼의 오직 강가 강들이 있다 하고 그들에 있는 모래알들과 그만큼의 그리고 세계들이 있다고 한다면, 어떻든 많은 것이 그들 세계들은 되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참으로 그러합니다 선서시여, 많은 것이 그들 세계들은 되겠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그들 세계들에 (있는) 중생들 그들의 나는 여러 가지 마음-흐름을 반야로써 알고 있다.
그것은 무슨 이유에서인가? 마음-흐름, 마음-흐름이라는 것은 수보리여, 비(非)흐름(非마음-흐름)이다 이것은 (이라고)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나니, 그래서 말해지기를 마음-흐름이라 합니다.
그것은 무슨 이유에서인가?
과거 수보리여 마음은 얻어지지 못하고, 미래 마음도 얻어지지 못하고 현재 마음도 얻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18. 정리본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육안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육안이 있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천안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천안이 있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혜안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혜안이 있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법안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법안이 있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래는 불안이 있는가 ?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불안이 있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강가 큰 강에 있는 모래알들에 관한 한, 그들 모래알들이 참으로 여래에 의해서 설해진 적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참으로 그러합니다 선서시여, 여래에 의해서 모래알들은 설해졌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강가 큰 강의 모래알들만큼 그만큼의 오직 강가 강들이 있다 하고 그들에 있는 모래알들과 그리고 그만큼의 세계들이 있다고 한다면, 그들 세계들은 어떻든 많은 것이 되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참으로 그러합니다 선서시여, 그들 세계들은 많은 것이 되겠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나는 그들 세계들에 (있는) 중생들 그들의 여러 가지 마음-흐름을 반야로써 보고 있다.
그것은 무슨 이유에서인가?
수보리여, 마음-흐름, 마음-흐름이라는 것은, 이것은 비(非)흐름(非마음-흐름)이다,라고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나니, 그래서 말해지기를 마음-흐름이라 합니다.
그것은 무슨 이유에서인가?
수보리여, 과거 마음은 얻어지지 못하고, 미래 마음도 얻어지지 못하고 현재 마음도 얻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천안: 신의 눈, 천안통
*혜안: 반야눈
*법안: 욕망을 여읜 청정한 법안이 생겨났나니-생겨난 법은 모두 멸하는 법이라고.
*불세계(佛世界)-구마라즙 스님
현장스님과 산스크리트본 - 세계들
*지혜로써 알고 있다 - 반야로써 보고 있다.
*마음-흐름, 마음-흐름이라는 것은, 이것은 비(非)흐름(非마음-흐름)이다,라고 여래에 의해서 설해졌나니, 그래서 말해지기를 마음-흐름이라 합니다.
마음-흐름은 비흐름(비마음-흐름)이다, 그래서 마음-흐름이다.
A는 anA이다, 그래서 A이다.
①A가 있으려면, anA가 있어야만 비로서 A가 있을 수 있다.
②A와 anA는 같다(상호의존적인 측면에서)
여기서 둘 중에는 비마음-흐름이 낫다.
③A와 anA를 모두 초월하면 그것이 궁극이다.
※마음-흐름에서 비마음-흐름이 되고, 두 가지 마음 모두 초월하고, 마음(흐름)을 초월한 것은 ‘반야’이다. ‘반야’이기 때문에 중생들의 모든 마음(흐름)을 반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반야는 완전한 ‘마음-흐름의 멈춤’이다.
마음-흐름 멈춤이 사마디이다. 사마디가 되면 반야가 드러난다.
*과거 마음은 얻어지지 못하고, 미래 마음도 얻어지지 못하고 현재 마음도 얻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거, 미래, 현재 마음은 모두 조건에 따라 형성 되는 ‘흐름’이다.
마음(흐름)은 위빠사나이다.
그러므로 먼저 ‘마음-흐름’은 ‘비흐름’이 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멈추어야 한다. 그러면 모든 중생들의 ‘마음-흐름’과 ‘비마음-흐름’도 반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