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podcastsEmail addressPasswordRegisterOrContinue with Google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here.
August 28, 2023시진핑 목에 방울 달기..... 중국 경제가 어려워진 진짜 이유는?최근 넘쳐나는 중국 경제 기사들을 보면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우화가 떠오릅니다. 중국 경제가 왜 이 지경에 몰리게 됐는지, 경제적 분석들은 대체로 비슷합니다. 문제는 그 근원에 어떤 문제가 있고 그걸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입니다. 중국 경제가 이렇게 된 건 결국 시진핑 주석 때문입니다. 그의 정책과 경제에 대한 관점이 오늘날의 상황을 초래했습니다....more7minPlay
August 22, 2023중국판 리먼 사태? 서방의 과장?..누구 말이 맞을까?세계 경제의 1/4을 차지하는 중국 경제, 그 중국 경제에 대한 위기론이 거셉니다. 인플레이션으로 고생하는 다른 주요 경제권과는 달리 유일하게 물가하락, '디플레이션' 국면에 있고 부동산 분야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수면 위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침체에서 시작된 위기가 금융 위기로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 쏟아지지만 중국 금융 시스템의 특수성상 여전히 통제 가능한 수준이라는 반론도 나옵니다. 다만 중국의 경제 회복 속도가 시장의 기대치나 예상보다 느리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가 어디로 갈지 좀 더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하반기 발표되는 주요 경제 지표가 좌표가 될 거란 전망입니다....more5minPlay
August 21, 2023‘시간의 빈곤’, 값을 매기기조차 어려운 불평등의 민낯가난은 가장 무자비한 시간 도둑입니다. 형편이 넉넉하지 못한 부모는 돈을 버느라 자녀와 보내야 할 시간을 매일 몇 시간씩 빼앗깁니다. 가난한 사람들이 "게을러서 그렇게 산다"라는 잘못된 믿음은 끈질기게도 우리 사회에서 사라지지 않습니다, 현실 속 수많은 부모들은 오늘도 자식들에게 안정적인 의식주와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시간표를 마음대로 짤 수 없는 장시간 노동에 뛰어듭니다. 학자들은 이런 상황을 가리켜 '시간의 빈곤'이라고 부릅니다....more10minPlay
August 17, 2023한국 단체관광 허용한 중국, 진짜 의도는 뭘까?중국 정부가 2017년 사드 사태 이후 6년 만에 한국으로의 단체 관광을 허용했습니다. 우리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좋기는 한데, 중국은 왜 한·중 관계가 좋다고 보기 어려운 이 시점에 이런 발표를 했을까요? 과연 한국에 대한 태도를 우호적으로 바꾼 거라고 볼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중국의 이번 조치, 꼭 한국에 대한 태도를 바꾼 걸로 보긴 어렵습니다....more5minPlay
August 14, 2023아이폰 생산, 중국에서 인도로? 애플의 큰 그림이 의미하는 것미국 기업인 애플의 대표 상품 아이폰을 지금까지 가장 많이 생산한 나라는 중국입니다. 지금까지 생산된 아이폰의 95%는 중국 내 공장에서 제조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애플이 올 들어 매우 중요한 전략적 전환을 시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공장에만 의존하는 현재의 상태가 너무 위험하다고 보고, 인도를 또 하나의 생산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겁니다. 애플이 이런 결정을 내린 이유는 무엇일까요?...more11minPlay
August 11, 2023어떻게 이게 가능해? ....'잼버리 콘서트'에 부름받고 나간다는 K팝 가수들시작부터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가 폐영을 앞두고 있습니다. 파행 수습을 위해서 가요계가 잼버리 콘서트에 총동원됐습니다. 당초 'K팝 슈퍼 라이브'는 지난 6일 새만금 야영지 일대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태풍 북상으로 잼버리 참가자들의 수도권 비상 대피가 결정되면서 콘서트는 서울 상암 월드컵경기장에서 열기로 최종 결정됐습니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K팝 가수들에 대한 섭외는 이례적으로 전광석화처럼 진행됐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more7minPlay
August 10, 2023폭염 속 일하다 쓰러진 서른 살 청년... ‘다음 동호’가 나오지 않으려면이른 더위가 찾아왔던 초여름, 코스트코 하남점 주차 카트 관리직이었던 김동호 씨는 근무 중 쓰러진 뒤 숨졌습니다. 김동호 씨의 사인은 '온열에 의한 과도한 탈수로 인한 폐 색전증'인데요, 서른 살 청년에게 폐색전증은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 아닙니다. 이는 33도가 넘는 폭염 속, 적절한 휴식이나 물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근력을 쓰는 노동을 계속하며 운동선수들과 같은 정도 수준의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일상이 된 폭염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지치고 힘든 일이지만, 누군가에겐 ‘목숨을 위협받는 일’이기도 합니다. 이번 여름이 누군가의 인생의 나머지 페이지를 손쉽게 앗아가는 계절이 아니기를 바랍니다....more10minPlay
August 04, 2023헬멧 쓰고 방패 든 북한 시위진압부대, 왜 등장한 걸까지난달 27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북한의 이른바 ‘전승절’ 70주년 열병식이 열렸습니다. 북한은 6.25 전쟁의 정전협정이 체결된 7월 27일을 미국과의 싸움에서 승리했다는 뜻으로 ‘전승절’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를 기념해 대규모 열병식을 연 겁니다. 이번 열병식에서는 각종 미사일 외에 눈여겨볼 만한 장면이 있었습니다. 북한의 시위 진압 부대가 등장한 겁니다. 국내외에 다 공개되는 열병식장에 시위 진압 부대가 버젓이 등장하다니... 어찌 된 일일까요? 해당 소식 전해드립니다....more7minPlay
August 03, 2023탈레반 적대하는 IS... 파키스탄에서 폭탄 테러가 계속되는 이유는최근 파키스탄 북서부에서 최소 54명이 숨지고 200명 이상이 다치는 대형 테러가 발생했습니다. 사건 발생 장소는 친 탈레반 성향의 정당이 정치 집회를 하던 무대였는데요. IS-호라산은 이 테러가 자기들이 한 짓이라고 밝혔습니다. 탈레반과 IS, 둘 다 비슷한 이슬람 원리주의 무장세력 같은데, 서로 뭐가 다르길래 저렇게 테러까지 할 정도로 사이가 안 좋은 걸까요? 해당 소식 전해드립니다....more6minPlay
August 02, 2023싸우자는 건가 말자는 건가, 중국 '디리스킹' 말하는 미국의 속내는?한때는 대만을 두고 당장 전쟁이라도 벌일 듯 으르렁거리던 미국과 중국 사이에 좀 다른 기류가 느껴집니다. “미국, 중국과 싸우자는 건가, 다시 잘 지내보자는 건가”라고 묻는다면 여전히 “싸우자는 것”이라고 답하겠습니다. 단, 어떤 싸움을 어떻게 하자는 건지를 구체화하는 중이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대화를 하자는 게 미국의 입장입니다. 한국은 미중 갈등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more10min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