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n Robinson – Schools Kill Creativity
켄 로빈슨, "학교가 창의력을 죽인다."
Now our education system is predicted on the idea of academic ability. 우리 교육 제도는 학습 능력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And there’s a reason. 이유가 있겠죠.
The whole system was invented – around the world, there were no public systems of education, really, before the 19th century.
19세기 이전에는 세계 어디에도 공교육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어요.
They all came into being to meet the needs of industrialism. 산업사회의 수요에 의해 생긴 것들이지요.
So the hierarchy is rooted on two ideas. 그러니까 계층구조는 두 가지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는거에요.
Number one, that the most useful subjects for work are at the top. 첫 번째는 직장을 구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과목들이 우위에 있다.
So you were probably steered benignly away from things at school when you were kid, 어릴적 학교에서 서서히 조종당하게 되죠.
things you liked on the grounds that you would never get a job doing that. 어렸을 때 즐겼던 과목들, 그런 것들에 관심을 둬서는 커서 직장을 절대로 못 구하니까
Is that right? 제 말이 맞죠?
Don’t do music, you’re not going to be a musician, 음악? 음악가가 되는게 쉬운 줄 아니?
don’t do art, you won’t be an artist. 미술? 미술가가 되면 어떻게 먹고 살려고?
Benign advice – now, profoundly mistaken. 잘되라고 하는 말이지만 너무나 중대한 착오죠
The whole world is engulfed in a revolution. 전세계가 혁명에 휩싸이고 있습니다.
And the second is academic ability, which has really come to dominate our view of intelligence, because the universities designed the system in their image. If you think of it, the whole system of public educaiton around the world is a protracted process of university entrance. And the consequence is that many highly talented, brilliant creative poeople think they’re not, because the thing they were god at at school wasn’t valued, or was actually stigmatized. And I think we can’t afford to go on that way.
둘째는 대학들이 자기 모습을 본떠서 교육제도를 설계했기 때문에 지성은 학습능력이라는 생각이 우리를 지배하게 되었습니다. 생각해보세요. 전세계의 모든 교육 제도들은 대학 입시를 위한 절차라고 볼 수 있어요. 결과적으로 많은 훌륭한 재능과 창의력을 가진 자들은 스스로가 그렇지 않다고 착각을 합니다. 왜냐면 학교를 다니면서 재능이 있었던 것들은 별 가치가 주어지지 않았던가 비난까지 받았으니 더욱 그렇죠. 더 이상 이런 길로 가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