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원권 지폐 앞면에 세종대왕의 초상화 뒤에 용비어천가의 ‘뿌리깊은 나무…’ 구절과 함께 심상치 않은 그림이 보인다. 바로 일월오봉도이다. 해와 달, 다섯봉우리, 소나무와 물 등을 그린 일월오봉도는 왕권의 상징이자 군왕의 분신이며 동일체로 여겨져 언제나 조선 임금의 어좌 뒤편에 걸려 있었다.
일월오봉도가 왜 왕관의 상지이자 국왕의 분신이라 했을까. 확실하지는 않지만 연구자들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가집인 <시경>의 ‘천보’라는 시에서 묘사된 9가지 자연현상을 인용한다. 즉 여기에 등장하는 다섯봉오리는 하늘이 내린 왕을 보호하는 물체를 일컬고, 나머지 4개, 즉 해와 달, 소나무, 물 등은 통치자가 자신의 미덕을 발휘하는 법을 보여준다는 뜻이라는 것이다. 이것들이 임금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일월오봉도는 항상 왕의 뒤에 놓이고 죽을 때도 같이 묻는다고 한다. 병풍만 걸려있다면 완성된 그림이 아니고 반드시 왕이 앉아있어야 완성된 그림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1만원권 지폐에 세종대왕 초상화 뒤에 일월오봉도 병풍이 걸려있는 것이다.
그런데 1791년(정조 15년) 조선의 중흥군주라는 정조(재위 1776~1800)는 군왕의 상징그림이라는 ‘일월오봉도’를 내리고 이른바 책가도(冊架圖) 병풍을 내걸었다. 책가도가 무엇인가. 책장과 서책을 중심으로 하여 각종 문방구와 골동품, 화훼, 기물 등을 그린 그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