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terribly hot. This is murder.
너무 덥다. 살인적이야.
'날씨가 참기 힘들 만큼 덥다' 고 말할 때, 본문과 같이
'살인적이다' 라고 말할 수도 있고, '타는 듯이 덥다, 끓는 듯이 덥다' 라고 말할 수
있는데요, '타는 듯이 덥다' 는 'scorching hot' '프라이팬의 기름이 끓는 듯이
덥다' 라는 표현은 'sizzling hot'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It’s still May, but it’s already hot.
아직 5월인데 벌써 덥네.
영어에서는 앞단어의 끝자음과 뒷단어의 첫자음의 발음이 같거나 유사할
경우 뒤에 나오는 단어의 첫자음만 발음합니다.
따라서, '이츠-스틸메이' 가 아니라 '이스틸메이'과 같이 발성합니다.
But I prefer a hot summer to a cold winter.
그래도 추운 겨울보다 더운 여름이 좋아.
'prefer A to B' 는 'A를 B보다 더 좋아하다' 라는 뜻의 표현이죠.
예를 들어, '난 걷는 게 뛰는 것보다 더 좋아' 라는 문장은
'I prefer walking to running'
'난 시골이 도시보다 더 좋아' 라는 문장은
'I prefer the countryside to the city' 와 같이 말하면 되겠죠.
That reminds me, you don’t seem to sweat a lot.
그러고 보니, 넌 땀을 별로 안 흘리는 것 같은데.
'That reminds me' 는 얘기를 하다가, 어떤 생각이 떠오를 때
'그러고 보니 생각났어' 와 같이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그러고 보니, 나 현금 좀 찾아야 돼' 라는 문장은
'That reminds me, I need to take out some cash'
'그러고 보니, 너 나한테 50달러 빚졌잖아'
'That reminds me, You owe me 50 dollars' 와 같이 말하면 됩니다.
'don't seem to 동사원형' 은 '~하지 않은 것 같다'
'can't seem to 동사원형' 은 '~하지 못할 것 같다' 라는 표현입니다.
'너 열은 없는 것 같은데' 라고 말할 때는
'You don't seem to have a fever'
'제 사이즈를 찾을 수 없을 것 같아요' 라고 할 때는
'I can't seem to find my size' 와 같이 말할 수 있겠죠.
Since you bring it up, let’s get some exercise.
얘기 나온 김에 운동이나 좀 하자.
'말이 나온 김에' 라는 표현은 'Since you bring it up' 또는
'Now that you mention it' 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는데요,
'bring up' 은 '무엇을 꺼내다' 라는 뜻이고, 'Now that 주어+동사'
는 '~하기 때문에' 라는 뜻으로 'because 주어+동사' 와 같은 의미입니다.
구어체에서 자주 쓰이니까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운동하다' 라는 표현으로 'work out' 또는 'exercise' 가 있는데요,
'work out' 은 주로 실내에서 '기구를 이용해서 근육을 만드는 운동'을 말하고
'exercise' 는 여러가지 운동을 포괄적으로 얘기할 때 사용합니다.
동사로 쓰이거나 'get some exercise' 와 같이 명사형태로 말하기도 합니다.
I’ll buy an iced coffee after working up a sweat.
땀 흘리고 나서 냉커피 한잔 살게.
'땀을 흘리다'는 'work up a sweat' 이라고 하는데요,
'work up' 을 활용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몇가지 예를 들면,
'식욕이 돋다' 는 'work up an appetite'
'용기를 내다' 는 'work up the courage'
'땀을 내다' 는 'work up a sweat'
'갈증이 나다' 는 'work up a thirst'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