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ent Fiction - Korean:
Mystery in Gyeongju: Uniting Through Chuseok Discoveries Find the full episode transcript, vocabulary words, and more:
fluentfiction.com/ko/episode/2025-09-03-22-34-02-ko
Story Transcript:
Ko: 가을의 문턱, 경주의 시골은 황금빛 논과 고대의 무덤이 낮게 웅크리고 있다.
En: At the threshold of autumn, the countryside of Gyeongju crouches low with golden fields and ancient tombs.
Ko: 밝은 햇살이 비추는 이곳은 추석을 맞아 가족들의 웃음소리와 송편 향기로 가득하다.
En: Bathed in bright sunshine, this place is filled with the laughter of families and the scent of songpyeon as they celebrate Chuseok.
Ko: 순우는 이곳의 역사를 사랑하는 학자였다.
En: Sunu was a scholar who loved the history of this place.
Ko: 그는 경주의 유적에 대한 지식을 자랑했지만, 어딘가 모르게 지역 사회와 단절되어 있었다.
En: Although he prided himself on his knowledge about the relics of Gyeongju, he somehow remained detached from the community.
Ko: 매년 추석마다 이런 저런 이유로 외톨이가 되곤 했다.
En: Every year during Chuseok, he ended up being a loner for various reasons.
Ko: 반면에 지수는 젊은 고고학자였다.
En: In contrast, Jisoo was a young archaeologist.
Ko: 이번 추석에는 할아버지 댁에 방문했지만, 그녀의 마음속에는 한 가지 목표가 있었다. 바로 최근에 다시 나타난 고대 무덤의 유물에 관한 미스터리를 푸는 것이었다.
En: Though she was visiting her grandfather's house this Chuseok, she had one goal in mind: to unravel the mystery of artifacts from an ancient tomb that had recently resurfaced.
Ko: 그녀는 역사적 정확성을 중요시하며, 이 일을 통해 자신의 실력을 증명하고 싶어했다.
En: She valued historical accuracy and wanted to prove her skills through this endeavor.
Ko: 그러나 마을 사람들은 지수를 경계했다. 외부인이 이 마을에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느냐는 의심 때문이다.
En: However, the townspeople were wary of Jisoo, due to doubts about what an outsider could accomplish in their village.
Ko: 그녀와 순우는 유물에 대해 서로 다른 이론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서로를 믿음 없이 시작했다.
En: She and Sunu held different theories about the artifacts, starting without trust in each other.
Ko: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우는 자신의 자존심을 접고 지수와 협력하기로 결심했다.
En: Nonetheless, Sunu decided to set aside his pride and collaborate with Jisoo.
Ko: 지수도 순우의 현지 지식을 믿기로 했다.
En: Jisoo also chose to trust Sunu’s local knowledge.
Ko: 그들은 함께 유물이 처음 발견된 무덤의 구석진 곳으로 향했다.
En: Together, they headed to the secluded corner of the tomb where the artifact was initially discovered.
Ko: 좁고 어두운 통로를 지나, 그곳에서 숨겨진 단서를 발견했다.
En: Passing through narrow, dark passages, they found hidden clues there.
Ko: 그것은 유물이 추석 때 조상을 기리는 전통 의식을 위해 의도적으로 옮겨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En: These indicated that the artifacts had been intentionally moved for an ancestral ritual during Chuseok.
Ko: 순우와 지수는 이 사실을 마을 사람들에게 공개했다.
En: Sunu and Jisoo revealed this fact to the villagers.
Ko: 마을 사람들은 두 사람의 노력과 진실을 받아들였다.
En: The townsfolk acknowledged their efforts and accepted the truth.
Ko: 유물은 마침내 제자리를 찾았고, 이로 인해 전통 의식은 보다 깊은 이해와 감사를 담아 계속되었다.
En: The artifact finally returned to its rightful place, allowing the traditional rituals to continue with deeper understanding and gratitude.
Ko: 순우는 협력의 가치를 깨달았고, 자신의 지식의 한계를 인정했다.
En: Sunu realized the value of collaboration and acknowledged the limits of his knowledge.
Ko: 지수는 지역 사회의 신뢰와 인정받으며 고고학자로서 자신을 증명했다.
En: Jisoo proved herself as an archaeologist by earning the trust and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Ko: 경주의 시골은 여전히 그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En: The countryside of Gyeongju continues to tell their story.
Ko: 황금빛 가을을 맞아, 사람들은 다시금 함께 모여 역사의 숨결을 느낀다.
En: As the golden autumn arrives, people gather once more to feel the breath of history.
Vocabulary Words:
- threshold: 문턱
- countryside: 시골
- crouches: 웅크리고
- ancient: 고대의
- bathed: 비추는
- detached: 단절되어
- loner: 외톨이
- contrast: 반면에
- unravel: 푸는
- artifacts: 유물
- resurfaced: 나타난
- wary: 경계했다
- endeavor: 일
- secluded: 구석진
- narrow: 좁고
- ritual: 의식
- acknowledged: 인정했다
- intentional: 의도적으로
- collaboration: 협력
- artifact: 유물
- recognized: 인정받으며
- scholar: 학자
- theories: 이론
- despite: 그럼에도 불구하고
- clues: 단서
- evidence: 증거
- traditions: 전통
- gratitude: 감사
- proven: 증명하고
- endeavor: 일